신흥국의 물가 급등이 국제사회의 불안 요소가 되고 있다는 정부 분석이 나왔다.

기획재정부가 3일 발표한 '주요국 식품가격 상승의 의미와 시사점'에 따르면 주요 신흥국들의 2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러시아 9.6%,브라질 6.7%,인도네시아 6.0%,중국 5.5% 등으로 동반 급등세를 보였다. 한국의 2분기 물가 상승률(4.2%)보다 높았다.

물가 급등을 부추기는 요인은 국가별로 달랐다.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물가 불안에 시달리고 있는 호주는 바나나 가격이 지난 2분기에만 138% 치솟았다. 중국에선 6월 돼지고기 가격이 한 달 전보다 57.1% 급등했다. 인도에선 양파와 콩이,멕시코에선 토르티아와 옥수수가,인도네시아에선 고추가 물가 상승의 주범이었다.

물가 대처법도 국가마다 차이가 났다. 중국은 생필품 가격을 직접 통제하거나 지급준비율을 인상한 반면 러시아와 인도는 부족한 곡물 수출을 금지했다. 인도네시아는 주요 제품에 대한 수입관세 철폐로 대응했다.

조원경 재정부 대외경제총괄과장은 "식품가격 상승으로 각국이 식량 생산과 분배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전 세계가 식량안보로 어려움을 겪지 않기 위해선 국가 간 공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보미 기자 bm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