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나라에 불법으로 반출된 문화재를 환수하기 위해서는 국제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린델 프롯 호주 퀸즐랜드대 명예교수(사진)는 19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문화재환수국제포럼 기조 발제에서 "해외 반출 문화재 환수 문제는 1960년대 유엔총회에서 제기됐고 유네스코로 넘겨진 결과 1970년 문화재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양도 금지와 예방 수단에 관한 협약이 채택됐다"며 "이 협약에 따라 120개국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협약 창설 40주년을 맞아 당사국들이 올 3월 유네스코 본부에서 협약 이행과 개선을 논의했다"며 "태국 싱가포르 홍콩처럼 불법 반출 문화재의 경로가 되는 국가들이 협약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많은 국가들이 힘을 합친다면 국제 네트워크는 더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롯 교수는 "국제박물관협의회는 오래 전 반출 문화재를 포함해 회원 간의 반환 협상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도쿄대의 의궤 반환은 불교계 조직이 주도해 성사시켰다"며 "한국 몽골 일본 태국처럼 불교공동체의 활동이 활발한 나라들은 이들 네트워크를 통해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혜문 문화재제자리찾기 사무총장은 "일본의 조선 왕실 의궤 반환 결정은 불가능해 보이는 현실적 한계를 민간의 노력으로 이룬 쾌거"라며 "과거사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치밀한 전략,한 · 일 시민단체와 의원 외교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문화재 반환 운동의 전범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 참석자들은 문화재에 대한 인식과 환수를 위한 협력 증진에 시민사회와 민간단체의 네트워크 구축이 갖는 가치에 주목하고 △각 국가는 불법 반출 문화재 목록을 적극 활용하면서 목록 수정 과정에 문화재 환수 전문가 및 시민사회 · 민간단체와 적극 협력하고 △국가적 전담 조직 운영과 민간 네트워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문화재 환수 국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국가 간 협력을 증진하고 △다자적 법적 제도와 협상을 적극 활용한다는 등의 '서울 선언문'을 채택했다. 문화재청은 지난 5월 '국외문화재팀' 발족을 계기로 '국외 소재 문화재 환수 및 활용 중장기 종합 계획'을 수립,국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 환수 및 활용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이날 포럼을 개최했다. 20일에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문화재 환수 정책토론회도 갖는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