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총리 "조만간 북극해에 2차 탐사단 파견" 밝혀
해군총사령관 "나토와 아시아국 북극권 러' 이익에 위협"

러시아가 내년에 북극권 영해의 확장을 요청하는 신청서를 유엔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세르게이 이바노프 부총리가 6일 밝혔다.

현지 리아노보스티 통신 등에 따르면 이바노프 부총리는 이날 북극해에 면한 러시아 북부 네네츠 자치주(州)의 나리얀-마르에서 열린 정부 해양 문제 협의회 회의에 참석해 "내년에 유엔 관련 위원회에 과학적 근거를 갖춘 신청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총리는 그러면서 "조만간 북극 해역의 로모노소프와 멘델레예프 해령(해저산맥)에 대한 러시아의 영유권 주장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할 탐사활동을 위해 제2차 탐사단이 (해당 해역으로) 출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탐사단이 2007년 로모노소프 해령 인근 심해에서 탐사 활동을 벌인 제1차 탐사단보다 훨씬 좋은 첨단 장비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북극해의 로모노소프와 멘델레예프 해령이 시베리아 대륙의 연장이기 때문에 해령이 자국 영토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증명할 과학 자료 수집에 열을 올리고 있다.

러시아는 2007년 8월 로모노소프 해령 인근 수심 4천m 이상의 심해에 잠수정 2대를 내려 보내 해저를 탐사하고 이곳에 티타늄으로 만든 자국 국기를 꽂았다.

로모노소프 해령에 대한 영유권 주장의 근거가 될 자료를 수집하고 동시에 이곳이 자국 영토임을 상징적으로 선언하는 퍼포먼스를 벌인 것이다.

러시아는 2001년 유엔에 로모노소프 해령에 대한 영유권을 인정해 달라는 신청서를 냈으나 기각당했다.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에서였다.

1982년 제정된 유엔 해양법은 북극해에 대한 개별 국가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신 북극해 연안국인 러시아,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덴마크 등 5개국의 200해리(370km) 경제수역은 인정하고 있다.

러시아의 탐사 활동은 유엔에 제출할 과학적 자료를 수집해 로모노소프와 멘델레예프 해령에 대한 영유권을 승인받고, 이를 통해 해령 인근의 대륙붕까지 경제수역으로 인정받으려는 것이다.

북극해 해역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자원과 어업, 해상 운송 등의 새로운 요충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현재 미개발된 지구 에너지 자원의 4분의 1 정도가 북극해 해저에 묻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변국의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북극권 주변국은 물론 중국까지 북극해 해역 선점 경쟁에 나서고 있다.

러시아는 앞서 1일 북극해 해역 주권 수호 임무를 수행할 2개 여단을 창설해 북부 항구도시 무르만스크나 아르한겔스크 등에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캐나다는 곧이어 다음 달 북극해 해역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군사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맞대응했다.

이와 관련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해군 총사령관은 이날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와 아시아국가들이 북극권에서의 러시아의 경제적 이익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소츠키 사령관은 "최근 들어 나토 국가들이 북극권을 자신들의 이해지역으로 규정하고, 조직적이며 단합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다"며 "이것이 러시아의 경제적 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극권에서 여러 동아시아 국가들의 활동도 강화됐다"며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 등과 함께 한국을 거명했다.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cjyou@yna.co.kr smi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