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와 부산시가 부산항의 항만시설 기능을 전면 재조정하는 종합정비계획을 마련한다.

부산항만공사는 부산항의 전체 부두에 대한 기능을 재검토하고,항만 배후지역과 도심을 연계 발전시키는 중장기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한다고 21일 밝혔다.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다음 주 용역을 발주한다.

ADVERTISEMENT

BPA는 북항(자성대,양곡,7~8부두,우암,용호부두 등)을 비롯해 남항 감천항 다대포항 등 부산항 일원을 국제 해양관광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신항 개장과 북항재개발 등에 따른 부두별 화물처리 전망과 개발 여건을 분석하고, 부산항의 배후도심과 권역별 기능을 다시 설정하기로 했다.BPA 관계자는 “부산항을 개발할 곳과 보존할 지역을 확실히 구분해 항만과 도시계획을 연결하는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도 이날 ‘남항 국제수산관광단지 조성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용역’ 공고를 내고 부산항의 출발점인 남항을 도심 속의 명품 수산 관광단지로 조성하는 용역 시행에 들어갔다.용역예산은 5억원.국가 차원에서 추진되는 중장기 개발계획에 부산시의 남항 발전 방안이 연계돼 부산항의 전체 항만기능을 재배치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2030년까지 남항(해역 포함 146만6000㎡) 일대를 역사성과 희소성이 있는 문화와 관광기능이 공존하는 종합 공간으로 창조한다.부산공동어시장과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 통합계획은 물론 중구(자갈치 수산관광단지 조성)와 서구(수산해양특구 지정 계획),영도구(영도비전 2020 계획) 등 기초자치단체별로 추진되는 항만 개발계획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적의 개발 방향을 확정하기로했다.

ADVERTISEMENT

남항 수산관광단지 조성사업 대상지는 자갈치시장과 건어물공판장 등을 포함한 ‘중구권역’, 부산공동어시장과 대형 냉동·냉장창고와 유통시설이 있는 ‘서구권역’, 수리조선소 등을 아우르는 ‘영도구권역’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개발할 방침이다.

BPA와 부산시는 오는 12월 최종안이 확정되는 이들 두 용역 결과를 국토해양부를 통해 정부의 전국 항만 기본계획에 반영시킨 뒤 내년 대통령선거에 나서는 후보들의 대선 공약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