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일본 근해에서 채취한 해수와 해양생물을 대상으로 방사선 분석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창경 교과부 2차관은 8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일본 원전사고 관련 당정협의에서 "해양연구원이 배를 띄워 동해뿐만 아니라 일본과 상당히 가까운 해역에서도 해수와 해양생물을 취득해 기초과학연구원과 원자력연구원 등 연구기관에서 공동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지난달 말부터 동.서.남해안과 일본 근해 20여개 지점의 해수 및 해양생물에 대해 세슘과 요오드를 중심으로 방사선 분석을 하고 있으며 오는 11일 중간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 2차관은 일본의 방사성 물질 유출에 따른 국내 영향과 관련, "대기 부유먼지의 방사성물질 최고 검출치(3.12mBq/㎥. 4월5일 군산 측정)를 기준으로 해도 1년간 계속 호흡할 경우 엑스레이 1회 촬영시 방사선량의 166분의 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빗물 중 방사성물질 최고 검출치(2.77Bq/ℓ. 4월6일 제주 측정)를 기준으로 매일 2ℓ씩 1년간 마셔도 엑스레이 1회 촬영시 방사선량의 2.2분의 1에 불과하다"며 "국내 환경방사능 수준을 평가할 때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승 농수산식품부 2차관은 "원전사고 이후 일본에서 수입되는 수산물 82건에 대해 정밀 검사를 했지만 방사능이 불검출됐다"며 "연근해의 주요 수산물도 검사를 했지만 아직까지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문정호 환경부 차관은 "23개 정수장에서 방사선 검사를 했으나 검출되지 않았다"며 "위험성이 높다는 `세늄137'도 일반 정수에서 100% 걸러진다"고 말했다.     이날 당정회의에서는 김무성 원내대표와 황진아 차명진 장윤석 정책위부의장 등 여당 의원이 참석했다. 김 원내대표는 일본 방사능 관련 사회불안감이 조성되는 것에 대해 "우리 사회를 흔들려는 불순분자들의 책동으로 혼란을 겪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사회를 전복하려는 좌파세력이 불안감을 조성하는데 정부가 당당히 맞서 싸워 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진하 의원은 "좌파세력의 불안감을 조장하는 것에 비해 정부의 홍보가 약하다"면서 "(문제가 없다면서도) 환경부는 (비오는 날) 정수장 덮개를 덮으라고 하고, 교과부는 학교장 재량으로 임시휴교를 하도록 해 국민의 혼란을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교과부의 김 차관은 "(휴교는) 시도교육청에서 하는 것으로 교과부는 휴업 또는 휴교를 하라면 전문가 자료를 참고해 신중하게 해달라는 내용으로 공문을 보냈다"고 해명했다. 한정연기자 jy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