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이 일본 원자력발전 사고에 따른 방사성 물질이 대기를 통해 한반도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태백산맥 상공에서 인공강우를 추진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예상된다.

6일 민주당 신학용 의원은 기상청이 편서풍 때문에 한반도 오염 가능성을 일축했으나 동풍이 불 것으로 예상되자 동해에서 인공강우를 계획했지만 실시 하루 전에 취소했다고 밝혔다. 신 의원에 따르면 인공강우에 필요한 비행기 문제 등 현실적인 여건 미비로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 인공강우를 하기 힘들게 되자 태백산맥에 인공강우를 내리려 했다. 그러나 동풍이 불지 않아 취소 됐다.

이 소식을 접한 트위터들은 "한반도 오염 가능성 일축하더니…", "기상청이 막장으로 간다", "일본이 오염수를 무단으로 방류한 것과 무엇이 다른가" 등 쓴소리를 했다. 또 강원도민으로 보이는 트위터들은 "강원도민은 방사능비 맞아도 됩니까", "강원도민 버리고 수도권만 살리려 했던건가" 등 목소리도 냈다.

한경닷컴 김시은 기자 showtim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