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여파로 사상 최고치로 치솟은 엔화의 초강세를 저지하기 위해 국제 사회가 공조에 나서기로 하면서 국내 증시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G7 재무장관·중앙은행장은 18일 긴급 화상회동을 가진 뒤 엔고 현상을 막기 위해 일본과 함께 외환시장에 공동 개입키로 했다고 밝혔다.

엔화 초강세 현상을 진정시킬 강력한 수단이 동원된 데다 일본은행이 화답이라도 하듯 계속 막대한 유동성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이날 오전 도쿄 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79.20엔이던 것이 3% 가까이 급등해 81.49엔을 기록했다.

엔ㆍ달러 환율은 전날 뉴욕의 전자거래시스템(EBS)에서 한 때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낮은 76.25엔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9월15일에도 일본 정부는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엔화 가치의 하락을 목적으로 외환시장에 단독 개입해 2조엔을 투입한 적이 있다.

하지만, `국제적인 공조'보다는 `자국의 이익'을 우선한 탓에 엔화 강세 속도 자체를 늦추는 데는 성공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

그럼에도 이번에는 국제 사회의 공조를 이끌어낸 만큼 그때보다는 효과가 더 클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엔화 흐름은 일본 기업들과 경합하는 국내 수출기업에 직결된 주요한 변수다.

엔화 강세가 진행되면 수출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을 높여 실적과 주가에 호재로 작용하지만, 엔화가 약세로 전환한다면 악재가 될 수밖에 없다.

일본 정부가 주요 7개국(G7)과 보조를 맞춰 외환시장 개입에 나서겠다고 공식화한 만큼 엔화 가치의 강세가 장기화하기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다만, 단기적으로 급격하게 엔화가 약세로 돌아설 가능성은 적은 편이다.

또한 국내 수출기업의 득실을 엔화 흐름만으로 따지는 것은 섣부르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삼성증권 신동석 이코노미스트는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시작된 엔화의 장기 강세 추세도 1995년 초 고베 대지진 이후 선진국 협조 개입에 의해 멈출 수 있었다.

올해 말 엔ㆍ달러 환율이 90엔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기존 전망치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대신증권 오승훈 애널리스트는 "일본 대지진에 따른 피해 규모가 확정되고 자금 조달 계획이 확정되지 않는 이상 엔 캐리 트레이드(저금리로 해외 고수익 자산에 투자된 일본자금) 청산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엔화는 단기적으로 불안정한 흐름을 보일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위기 이후 국내 수출기업들의 실적을 살펴보면 환율이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었다.

국내 대표기업들의 품질경쟁력이 상당한 수준으로 올라온 만큼 환율에만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창용 기자 chang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