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제 등 상비약 편의점 판매 허용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민단체 "약값 인하 효과에 주말·심야에도 구입할 수 있어"
약사회선 "오·남용 우려" 반대
약사회선 "오·남용 우려" 반대
해열제나 소화제 같은 가정상비약을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 유통매장에서도 판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대한약사회가 이를 반대하고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건강복지공동회의와 소비자시민모임,바른사회시민회의 등 25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를 위한 시민연대'는 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약국에서만 의약품을 판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현행 제도의 개선을 촉구했다.
시민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해열제 소화제 지사제 드링크류 등 가정상비약의 약국 외 판매허용과 △의약품 2분류체계를 3분류체계로 변경할 것을 주장했다. 의약품을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으로 분류하는 현행 분류체계 중 일반의약품을 '약국약'과 가정상비약에 해당되는 '자유판매약'으로 나누고 편의점 판매를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연대는 "가정상비약을 약국에서만 판매하도록 규제함으로써 약국들이 문을 닫는 주말이나 심야에 국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있다"며 "가정상비약의 약국 외 판매가 이뤄지면 국민편익이 증대되고 가격경쟁에 의한 약값 인하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 등 주요 선진국들도 약국 외 판매를 허용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날 국회에서도 비슷한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애주 의원(한나라당),최영희 의원(민주당) 주최로 열린 '의약분업 시행 10년 평가와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주제발표자로 나선 권용진 서울대 의대 교수는 "약국 외 판매는 국민에게 일반 의약품 선택권을 돌려주는 의약분업의 근본 취지를 살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한약사협회는 강하게 반발했다. 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일반의약품들에도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제품들이 있는 만큼 판매처가 확대되면 의약품 오 · 남용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또 "외국의 경우 약국당 인구 수가 5000명 이상이면 의약품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슈퍼마켓 판매를 허용하지만 우리나라처럼 약국당 인구 수가 2300명 수준인 상황에서는 접근성보다 의약품 사용의 안전성 확보 원칙이 더 강조된다"고 말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건강복지공동회의와 소비자시민모임,바른사회시민회의 등 25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를 위한 시민연대'는 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약국에서만 의약품을 판매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현행 제도의 개선을 촉구했다.
ADVERTISEMENT
시민연대는 "가정상비약을 약국에서만 판매하도록 규제함으로써 약국들이 문을 닫는 주말이나 심야에 국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있다"며 "가정상비약의 약국 외 판매가 이뤄지면 국민편익이 증대되고 가격경쟁에 의한 약값 인하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 등 주요 선진국들도 약국 외 판매를 허용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날 국회에서도 비슷한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애주 의원(한나라당),최영희 의원(민주당) 주최로 열린 '의약분업 시행 10년 평가와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주제발표자로 나선 권용진 서울대 의대 교수는 "약국 외 판매는 국민에게 일반 의약품 선택권을 돌려주는 의약분업의 근본 취지를 살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