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7일 정례 브리핑에서 "류샤오보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반대하는 나라와 기구가 100여곳이나 된다"고 말했다. 어떤 나라들인지는 구체적으로 거명하지 않았다. 노벨상 시상식 불참을 요구해온 중국의 주장이 틀리지 않았음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중국이 정치범으로 감방에 가둔 류샤오보가 노벨 평화상을 받게 된다. 중국으로서는 '반(反)국가사범'이 노벨 평화상을 타게 되는 게 달가울 리 없다. 수상자 결정이 잘못됐다고 목소리를 높이고,시상식에 참석해서는 안 된다고 열을 올리는 게 한편으로 이해가 전혀 안 되는 것도 아니다.

중국은 류샤오보를 석방하라는 국제사회의 주장에 대해 "중국법을 어겼기 때문에 감옥에 가는 건 당연하다"고 말하지만,류샤오보의 친구와 가족까지 집에 연금하면서 무슨 법을 어겼는지는 설명하지 못한다. 법에 의한 통치가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하지 못하는 셈이다. 따라서 류샤오보를 석방하라는 주장이 틀렸다는 중국 정부의 입장도 설득력을 갖지 못한다.

한발 더 나아가 티베트의 인권문제 등을 거론하면 내정간섭이라며 강력히 반발하는 중국 정부가 노벨상 시상식에 참석하겠다는 다른 나라 정부를 비난하며 가지 말도록 요구하는 것은 내정간섭이 아닌지를 생각해보게 된다.

중국의 이 같은 일방주의적 태도는 지난달 바티칸의 승인 없이 주교 서품을 강행했을 때,또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갑작스럽게 한국을 방문하면서 사전협의도 없었던 이명박 대통령 면담요구 때 잘 나타났다. 교황청은 교황의 승인 없이 주교 서품을 강행한다면 바티칸과 중국의 관계가 악화될 것임을 경고했지만,중국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외교적 결례까지 범하며 이 대통령을 면담한 것도 그렇지만,6자회담 재개를 이 대통령이 거부했는데도 이를 각국에 공개적으로 다시 제안하며 한국 의견을 묵살한 것도 문제였다.

최근 중국 사회를 달군 인물 중 하나는 교통사고를 낸 뒤 "우리 아빠가 리강이야"라고 외친 한 젊은이다. 리강은 지방의 고위공직자다. 베이징의 한 외교관은 "요즘 중국을 보면 '우리가 중국이야'라고 외치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조주현 베이징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