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부터 복수노조가 시행되면 노동운동의 성격이 실리적으로 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복수노조가 초기에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다가 4~5년 후에는 자리를 잡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 같은 전망은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와 진숙경 성균관대 HRD센터 연구위원팀이 56개 무노조 기업과 156개 유노조 기업 등 212개 기업의 인사노무 담당자를 설문조사해 분석한 '복수노조 시대의 노사관계 전망'에서 나왔다. 조 교수팀은 이 논문을 지난 8일 발간된 노동리뷰 12월호에 게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복수노조 허용 이후 노동운동 성격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7.3%(이하 유노조 기업 응답 기준)가 '실리를 추구하는 협력적 노조주의가 우세해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대립적 노조주의가 우세할 것'이란 응답은 15.4%였고 △'노사정 조합주의 우세'(7.7%) △'사회운동적 · 정치적 노조주의 우세'(6.4%) 순이었다.

복수노조 허용 후 기업의 노무관리 비용에 대해선 10곳 중 7곳이 '증가할 것'(69.8%)이라고 답했다. '현재와 비슷할 것'이란 응답은 30.1%를 차지했으며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 응답자(0.1%)는 거의 없었다. 조 교수는 "복수노조 허용으로 인사노무 총비용은 25~50%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무노조 기업에서 노조가 새로 설립될 경우 비용이 급증할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