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 그림은 국제 환율제도의 변천 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이와 관련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 금본위제도 아래에서는 각국이 소유한 금의 총량 자체가 제한적이므로 통화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었다.

② (가)시기에는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의 결과 미국으로 대량의 금이 유입됐고,미국 달러화가 기축통화로 자리잡았다.

③ 브레턴우즈(Bretton Woods) 체제에서는 달러화의 금 태환을 인정함에 따라 자유변동환율제도의 이점이 극대화돼 환위험이 줄어들고,국제 무역량이 크게 증가했다.

④ (나)시기에는 미국의 달러화 가치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금의 해외 유출 압력이 가시화했고,결국에는 닉슨 대통령이 금 태환 중지를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⑤ 킹스턴(Kingston) 체제는 각 국가별로 자유로운 환율제도 선택과 금 태환 중지 등에 대한 기존 관행을 사후적으로 확인하는 것이었다.

[해설] 환율제도는 금본위제도-금환본위제도-변동환율제도로 변천해 왔다. 금본위제도는 말 그대로 각국이 금의 보유량만큼 화폐를 발행하는 제도이다. 환율은 금을 중심으로 고정된다. 금본위제도는 1,2차 세계대전 중 참전국들의 화폐 발행 증가로 인해 유명무실해졌다. 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으로 금이 대량 유입되면서 금본위제도 유지가 어려워졌다. 이에 1944년 7월 미국 뉴햄프셔주의 브레턴 우즈에서 44개 연합국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만들어진 전후 새로운 국제 통화질서가 브레턴우즈 체제다. 브레턴우즈 체제는 미국 달러만 금으로 교환하고 나머지 통화는 미국 달러에 연동하는 일종의 변형된 고정환율제도다. 브레턴우즈 체제는 베트남전 참전과 무역적자로 금 보유량이 줄어든 미국이 금 태환 중지를 선언하면서 붕괴됐다.

정답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