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일본 외교장관들이 어제 워싱턴에서 회담을 갖고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우라늄 농축을 규탄하면서 도발 중단과 함께 비핵화 의무 준수를 강력히 요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북의 연평도 공격 이후 긴급히 열린 이번 회담은 특히 중국에 대해 '좀 더 명확한 어조로 북에 경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들 외교장관들이 연평도 희생자에 대한 묵념으로 회담을 시작했다는 것 만으로도 이번 사태를 얼마나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한 · 미 · 일 외교장관들은 중국이 제안한 6자회담 재개에 분명한 거부입장을 밝혔고,북의 추가도발에 군사적으로 응징하겠다는 우리 측 방침에 미국이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의 호전적 도발에 대해 동북아 안보조약 동맹국가들인 3국간 연대와 공조를 통해 적극 대응한다는 의지를 확고히 한 것이다.

이번 회담에서 주목되는 것은 중국에 대해 보다 능동적인 행동을 명시적으로 압박했다는 점이다. 공동성명은 우선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북의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의 구체적인 행동을 전제했다. 그리고 북의 도발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비핵화에 있어 중국의 노력을 기대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그럼에도 중국은 여전히 북을 감싸는 입장에서 요지부동이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6일 오바마 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시급한 것은 냉정하고 이성적인 대응을 통해 정세 악화를 막는 것"이라며 대화와 협상 주장만을 되풀이했다. 유엔 국제형사재판소(ICC)가 북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공격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고,안전보장이사회가 연평도 사태 논의를 검토하는 등 국제사회의 일치된 대북 비난 움직임과는 완전히 거꾸로 가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북의 전쟁도발 행위까지 두둔하는 것이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깊이 되새길 필요가 있다. 대국으로서의 책임있는 역할과 국제사회의 협력 요구를 외면한다면 결국 스스로 고립을 심화시킬 뿐이다. 지금은 6자회담을 거론할 게 아니라 북에 대한 보다 강도 높은 경고로 도발을 억제하는 것이 그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