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기조는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속도와 폭은 물가가 어느 정도 오르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6일 기준금리를 연 2.25%에서 2.50%로 인상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농산물 가격을 중심으로 더욱 높아졌으며 국제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게 금리인상에 대한 한은의 배경 설명이다.

추가 금리 인상 여부를 가름할 내년 물가가 얼마나 상승할지 여부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에 잘 나타나 있다. 지난 10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4%로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전국의 체감물가 측정을 위한 물가전담팀을 꾸린 행정안전부 관계자도 "내년 상반기까지 물가가 비상"이라며 "기후 등의 영향으로 생활물가가 의외로 타격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물가 상승 가능성이 높은 만큼 기준금리가 추가 인상될 공산도 상당하다.

하지만 금리를 인상하려면 국내 요인뿐만 아니라 해외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해외요인을 감안하면 금리인상속도는 빠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외 변수 영향을 많이 받는 한국이 단독으로 금리를 큰 폭으로 올릴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금융연구실장도 "향후 중국 경제 긴축으로 한국 경제도 타격을 받을 수 있고 아일랜드 재정위기도 단기간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빠른 인상은 어려울 것으로 예측했다.

시장에선 내년 기준금리가 연 3%대에 진입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적정 인플레이션율과 잠재 국내총생산(GDP)을 통해 적정 기준금리를 산정하는 이론인 '테일러 준칙(Taylor's rule)'을 감안하면 현재 국내 기준금리는 연 3~4%대가 정상적"이라고 말했다.

금리가 인상되면 대출이자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한상언 신한은행 프라이빗뱅킹(PB) 팀장은 "대출금리는 채권금리와 달리 기준금리에 연동해서 오르는 추세이기 때문에 내년 이자 부담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과거처럼 서민가계와 중소기업들의 이자 부담이 단기간 내 가중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 수석연구원은 "기준 금리 인상 폭이 크지 않아 시장금리는 따라 오르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실제 국고채 3년물 금리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렸던 지난 7월9일 연 3.94%에서 지난 15일 현재 3.47%로 오히려 떨어진 상태다. 외국인의 신흥국가 채권 투자가 늘어남에 따라 채권값은 오르고 금리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올 들어 지난 15일까지 외국인은 채권 65조원어치를 사들였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