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계부문 재무건전성이 전반적으로 좋아졌지만, 여전히 가계의 채무 상환 부담이 커 부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가계부채 위험도에 대한 평가-미시자료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가계부문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했던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낮지 않은 수준이며 최근에도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KDI는 "소득 대부분을 생활비와 부채 상환에 쓰는 부채가구의비중이 작지 않은 수준임을 고려하면 가계부문의 재무구조 개선은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충격에 대비해 여력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2009년 현재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86% 수준으로 개인처분가능소득 대비로는 153%를 기록, 한국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수준은 금융위기의 진원지인 미국, 영국 등 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낮지 않은 수준이다. 하지만 2005~2008년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추세에도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가계부문 재무건전성은 개선된 것으로 평가했다. KDI는 "가계부채의 미시적 분석 결과 소득 대비 부채비율과 부채상환부담이 높은 고위험군 부채가구의 비중이 낮아졌다"며 "부채 상환 여력이 열악한 가구의 부실가능 부채 규모도 전체 부채 대비 줄어드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2005년 이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250%를 넘는 가구는 전체 부채가구의 20% 이하, 400%를 넘는 부채가구 비중은 10% 이하인 것으로 분석했다. 또 부채가 있는 가구 중 80% 이상이 소득 대비 부채상환비율이 25% 이하인 가구로, 부채상환비율이 25% 또는 40%를 넘는 고위험가구 비중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KDI는 "고위험군 부채가구 중 다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군으로 이동하는 모습인데, 이는 가구별로 부채조정이 활발히 이뤄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