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에선 이번주(7~11일) 코스피지수가 미 상호관세 영향,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인용 여파 등을 탐색하며 상승 시도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6일 이번주 코스피지수가 2360~2600선 범위 내에서 등락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국내 정책 공백기에 대한 해소 기대감이 있는 반면 미국 상호관세와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추가적인 관세 발표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며 "이벤트 결과를 확인하고 대응하는 것이 유효할 것"이라고 밝혔다.지난주 마지막 거래일 코스피지수는 헌법재판소의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요동을 쳤으나 예상 외로 컸던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율 발표 여파에 급락 마감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시장에서 현·선물 합계 2조5000억원어치를 순매도하고 떠났다. 특히 반도체 관세 추가 지정 우려와 미국 수출을 늘리고 있는 SK하이닉스와 삼양식품이 급락했다.나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지난해부터 트럼프 리스크를 일부 먼저 반영했기 때문에 (다른 국가 대비) 주가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준"이라며 "관세로 인한 전반적인 수요 감소와 글로벌 물동량 감소를 고려할 때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내수주나 관세 회피처인 엔터테인먼트·증권주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또 "관세 발표 이후 국가별 협상 절차에 진입하면 오히려 관세 피해주 중 반도체와 자동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반도체와 의약품의 경우 상호관세 품목에서는 제외됐으나 수입차 관세처럼 미국이 특정 업종·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에 다시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다는 말이다. 가짜뉴스 홍수 속 정보의 불균형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주식 투자 경력 18년 8개월의 ‘전투개미’가 직접 상장사를 찾아간다. 회사의 사업 현황을 살피고 경영진을 만나 투자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한다. 전투개미는 평소 그가 ‘주식은 전쟁터’라는 사고에 입각해 매번 승리하기 위해 주식 투자에 임하는 상황을 빗대 사용하는 단어다. 주식 투자에 있어서 그 누구보다 손실의 아픔이 크다는 걸 잘 알기에 오늘도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기사를 쓴다. <편집자주>“일본, 중국 등 해외 식음료 시장 공략 강화로 수출 비중을 2배가량 높이겠습니다. M&A(인수협병)와 지분 투자로 몸집을 키워 종합식품사로 도약하겠습니다.”박철범 흥국에프엔비 대표는 지난 4일 올해 사업 전략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박 대표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서울커피엑스포’에서 직접 자사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었다. 흥국에프엔비는 식음료 ODM(제조자개발생산) 전문 코스닥 상장사(시가총액 711억원)로 초고압공정(HPP·High Pressure Processing) 기술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비가열 처리 과일 농축액·스무디와 같은 음료 원액과 주스·커피·디저트·빙수 등 카페 음식 솔루션을 연구·개발 및 제조·판매하는 회사다. 권순석 차장은 “초고압처리 공정은 수심 6만m와 동일한 초고압 환경에서 미생물을 제어해 비가열 처리로 향과 맛의 손실을 최소화한다”고 설명했다. 스타벅스·폴바셋 등 1151곳과 거래 … “우리동네 카페 사장님 친구&rd
중국 대형 가전업체 메이디(Midea)그룹이 최근 장기 투자하고 있던 샤오미그룹의 주식을 전량 처분했다. 사업 영역이 겹치면서 협력보다 결별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83조 매출 찍은 메이디..."자사주 매입 계획"6일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메이디그룹은 지난 3일 73.36위안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한 달 사이 10% 이상 상승하면서 78위안까지 뛰었으나 미국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우려가 커지면서 주춤세를 보이고 있다.지난달 28일 장 마감 이후 공개된 실적에 따르면 메이디그룹의 작년 매출은 4090억8400만위안(약 83조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9.47% 증가했다. 같은해 LG전자의 TV·가전 매출 48조4324억원, 삼성전자의 VD·가전 매출 56조5000억원을 넘어서는 성적을 거뒀다. 순이익은 385억3900만위안(약 7조8000억원)으로 14.29% 늘었다. 매출총이익률은 26.2%로 전년 대비 0.7%포인트 높아졌다. 회사 측은 10주당 35위안의 현금 배당을 실시하기로 했다. 특히 해외 지역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중국 본토 매출은 7.7% 증가한 2401억위안, 해외는 12% 뛴 1690억위안으로 집계됐다. 중국과 해외 매출 비중은 각각 58.69%, 41.31%를 기록했다.전체 매출 가운데 스마트홈 사업 매출은 2695억3200만위안으로 전년보다 9.4% 증가했다. 신에너지 공업기술 매출은 336억1000만위안으로 같은 기간 20.6% 급증했다. 스마트 빌딩 사업 매출은 284억7000만위안으로 9.9% 증가했고, 로봇 및 자동화 사업 매출은 287억100만위안으로 7.6% 줄었다. 원자재 등 기타 사업 매출은 351억위안으로 18.5% 늘었다. 회사 측은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냉난방공조(HVAC) 부품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만든 덕분에 실적(신에너지 공업기술 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