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새로운 대북 접근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28일 미 정부 당국자들과 전문가들을 인용,미 정부가 압박만으로는 북한을 움직이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지난주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고위급 회의를 소집해 외부 전문가들과 전직 당국자들로부터 새로운 대북 접근법에 관해 의견을 물은 것도 이런 배경이라는 분석이다.

NYT는 당시 동석자들 중 대북 강경 성향의 인사들조차 미국이 북한과 어떤 형태로든 접촉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도 여기에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조엘 위트 전 국무부 북한담당관은 "문제는 우리가 지금 뭘 할 것이냐인데 답은 관계 재개"라고 말했다. NYT는 미 정부가 대북 경제제재와 같은 압박정책을 포기하지는 않겠지만 대화 없이 압력만 가할 경우 전쟁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데 매파 성향 전문가들조차 동의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한덕수 주미 대사는 "한국과 미국 양국은 북한과 대화를 위한 대화는 원치 않는다"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북한의 평화적인 비핵화 성과를 원한다"고 전했다.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7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서는 "노 코멘트"라며 공식적인 반응을 유보했다.

미국처럼 일본 정부도 김 위원장의 방중에 대해 별도의 공식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하지만 교도통신과 NHK 등 일본 주요 언론들은 김 위원장의 이동 경로와 방문 동기 등에 대해 수차례 속보를 전하며 추이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교도통신은 중국과 일본이 북핵 6자회담 재개 시기 결정 문제를 논의했지만 합의점을 찾는 데 실패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오카다 가쓰야 일본 외무상은 이날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과 회동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천안함 사건 책임 공방을 거론하며 "한국의 국민 정서와 정부의 입장을 고려할 때 6자회담 조기 재개는 어렵다"고 밝혔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이미아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