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결국 파국 위기에 놓였습니다. 6일 용산역세권 개발 사업자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드림허브PFV) 이사회에서 재무적·전략적 투자자들이 내놓은 중재안을 놓고 협의를 벌였지만 성과없이 끝났고 앞으로의 이사회 일정도 잡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앞서 건설투자자는 중재안에 대해 자금조달은 사업협약, 주주간 협약 등의 정신에 따라 주주사별로 비율에 따라 책임을 분담하는 게 원칙이며 17개 건설투자자에 대해서만 9500억원의 지급보증을 요구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통보한 바 있습니다. 반면 코레일은 사실상 대부분의 중재안을 수용해 결국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은 건설투자자들의 토지대금 지급보증에 운명이 갈리게 됐습니다. 하지만 전망은 어둡습니다. 건설투자자들은 일관되게 사업성이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지급보증을 떠안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삼성물산 관계자는 "건설사들은 사업수익성이 애초 예상보다 떨어진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고 지급보증 규모도 부담스럽다는 반응이어서 합의할 수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은 코레일이 지난달 20일 삼성물산에 통지한 사업협약 의무이행 최고 시한인 오는 20일까지 건설투자자들이 해결책을 찾지 못할 경우 파국으로 치닫게 됩니다. 코레일은 건설투자자들이 오는 20일까지 계속해서 지급보증을 거부할 경우 사업협약을 해지하고 지급보증이 가능한 대체시공사를 유치하거나 재공모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안태훈기자 t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