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9-10일 석학들의 대화 및 국제학술대회 개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단장 김성민 철학과 교수)은 오는 9∼10일 이틀 간 건국대 새천년관 국제회의장에서 ‘인문학,분단을 보다’라는 주제로 ‘제1회 석학들의 대화’와 ‘제4회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9일 오후 2시부터 열리는 ‘제1회 석학들의 대화’는 ‘인문학에서 찾는 분단 극복의 대안’이라는 테마로 박한식 조지아대 교수,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이 최근의 남북관계를 진단하고 남북관계 경색을 풀 해법을 모색하며,더불어 ‘통일인문학’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이들 석학은 수십 년 간 학계,시민사회,정부에서 남북관계와 통일문제를 다루며 얻은 지혜를 생생하게 청중들에게 전해줄 예정이다.
10일 오전 10시부터는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국제회의실에서 ‘분단의 아비투스와 생활문화’라는 주제로 미국,중국,카자흐스탄,일본,한국의 학자들이 모여 제4회 국제학술대회를 갖는다.김성민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장은 “남북 당국 사이의 팽팽한 긴장이 이어지는 속에서도,석학들의 지혜에 힘입어 남북화해와 통일의 희망을 찾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한식 교수는 조지아대 부설 세계문화연구소(Center for the Study of Global Issues) 소장으로 북핵 위기 해소를 위한 북·미 민간전문가 대화인 ‘워싱턴-평양 트랙 Ⅱ 포럼’을 수년간 개최해왔고,북한 핵개발로 국제위기가 첨예화 되던 1994년과 2004년에는 몸소 북·미 간 교량역할을 담당해 도널드 그레그 전 주한 미국대사 로부터 ‘북·미관계의 평화설계자’라는 칭송을 듣기도 했다.그는 또한 2009년 북한의 미국 여기자 억류사건 때는 막후에서 북한과의 탁월한 석방 능력을 발휘해 여기자들 석방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며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왕성하게 북·미 사이에서 가교역할을 했다.이밖에 국내 최고의 남북관계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는 백낙청 명예교수,임동원 전 장관이 천안함 사건 이후 남북관계,북·미관계 등 향후 동북아시아 정세에 대해 어떠한 혜안을 보여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10일 오전 10시부터는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국제회의실에서 ‘분단의 아비투스와 생활문화’라는 주제로 미국,중국,카자흐스탄,일본,한국의 학자들이 모여 제4회 국제학술대회를 갖는다.김성민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장은 “남북 당국 사이의 팽팽한 긴장이 이어지는 속에서도,석학들의 지혜에 힘입어 남북화해와 통일의 희망을 찾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