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구조조정 발표] 건설사 16곳, 김포·고양 부산 대규모 미분양에 직격탄 맞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리한 아파트 사업으로 광주 · 부산 · 김포 등에 미분양 물량을 켜켜이 쌓았다가 발목이 잡혔다.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건설사들은 대부분 주택 분야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해온 중견 업체들이다. 이번 구조조정 대상에는 16개 건설사 가운데 50위권 이내 대형 업체가 5곳에 이르며 상장사인 성지건설은 D등급을 받았다. 이들 업체는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떠안고 있거나 미분양과 미입주 아파트로 인해 유동성 위기를 겪는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과도한 PF와 미분양이 발목 잡아
ADVERTISEMENT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으로 분류된 곳 중 규모가 큰 곳은 벽산건설로 시공능력평가 26위다. 부산지역 미분양으로 유동성이 악화됐고,5570억원에 달하는 PF 지급보증이 재무구조를 악화시켰다. 역시 C등급인 남광토건과 신동아건설의 PF 반영 부채비율은 각각 800%와 900%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업체의 경우 김포 신곡동에 추진하고 있는 3800채의 도시개발사업이 치명타가 됐다. 이번에 함께 C등급을 받은 청구도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신곡동 도시개발사업을 위해 지금까지 7400억원의 PF를 일으켰으나 주택경기 침체로 분양이 지연되면서 이자 부담만 쌓이고 있다.
남광토건은 시공능력평가 38위 건설사로 도로 등 토목공사에 강점을 갖고 있으나 주택사업과 관련한 1조5000억원에 달하는 PF가 발목을 잡았다. 개성공단에 철골공장을 설립하고 대북사업을 추진했으며,앙골라 등지에서 해외사업도 진행해왔으나 사업이 고전하면서 유동성 위기를 가중시켰다. 신동아건설(시공능력평가 31위)은 미분양으로 고전하던 고양 덕이지구 신동아파밀리에와 김포 신곡동 도시개발사업,서울 잠실 재향군인회터에 짓는 오피스 사업 등에 자금이 물리면서 유동성이 악화됐다.
ADVERTISEMENT
◆경영개선에는 '역부족' 평가도
채권은행들이 부실업체를 골라냈음에도 불구,실제 구조조정이 제대로 진행될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지난해에도 C등급을 받고도 워크아웃을 거부하거나 자구계획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기업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
ADVERTISEMENT
퇴출기업으로 확정된 건설사는 채권금융기관의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통합도산법에 따른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할 수 있다. 그러나 자체 정상화는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법정관리,제3자 매각,파산 등 세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장규호/이정선 기자 danielc@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