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원자바오 회담 주시

미국 국무부는 26일 천안함 사건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 방침을 거듭 밝히고 유엔 안보리 대응 과정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차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에 분명하고도 강렬한 메시지를 보내는데 있어서 중국과 러시아가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미국은 천안함 조사결과에 대해 평가를 내리고 한국을 전폭적으로 지지할 것이라고 밝힌 만큼 중국과 러시아도 똑같은 조치를 취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유엔 대북제재 동참여부에 대한 중국의 태도와 관련, "이번주 예정된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총리의 회담을 두고보자"고 전제한뒤 "클린턴 장관이 베이징에서 밝혔던대로 우리는 책임을 공유하고 있으며, 한반도 안정을 위해 가능한 모든 것을 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공통의 견해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크롤리 차관보는 하지만 구체적 유엔 안보리 대응방안으로 유엔 결의안이 추진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분명한 입장 표명을 피하면서 한국 및 유엔 안보리 당사국들과 협의를 통해서 결정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유엔 결의안 검토 여부과 관련, "우리는 한국의 입장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안보리내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기 위해 한국 및 당사국들과 협의할 것"이라며 "하지만 현 시점에서 그 조치가 언제 어떻게 취해질 것인지는 예견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국무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 "유엔 대북 제재 수위와 방안, 시기는 한국 정부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우리는 거듭 밝힌대로 강력한 국제적 대응을 추진할 것이며, 앞으로 유엔 안보리에서 논의를 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유엔 안보리 대응 외에 여러 대북제재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거듭 밝히면서 "우리의 노력들은 북한을 벌주기 위해서라기보다는 북한이 다른 길을 선택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성기홍 특파원 sg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