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0년 역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30% 감축하려던 유럽연합(EU)의 방침에 끝내 제동이 걸렸다.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를 1990년 대비 20%로 책정한 EU는 '환경 지킴이'를 자처하면서 감축목표치를 30%로 상향하려 했으나 회원국 사이의 이견과 산업계의 반발에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 것이다.

코니 헤데가르드 EU 기후변화 대응 담당 집행위원은 26일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일방적으로 상향할 계제가 아니다"라며 "현 시점이 이를 강행할 때냐고 묻는다면 '아니다'라는 게 정답"이라고 말했다.

헤데가르드 집행위원은 그러면서 "감축목표 상향은 때와 조건이 충족됐을 때 (회원국 정상들의) 정치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며 "현 시점에서 최우선 순위는 경제위기 극복"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EU는 오는 11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회의 결과를 지켜본 뒤 향후 대응방향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EU는 작년 12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회의 직전 미국, 중국 등 핵심 당사국의 행동 여하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치를 종전보다 10%포인트 높여 30%까지 줄일 의향이 있음을 공표한 바 있다.

그러나 코펜하겐 회의의 실패 이후 산업계에서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자 이 문제는 수면 밑으로 잠겼다가 최근 다시 이슈로 부상하면서 독일, 프랑스 등 일부 회원국이 반발함에 따라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 셈이다.

한편, EU 집행위가 이날 "일방적인 감축목표 상향 없음"을 공식화하자 유럽 철강업협회(EUROFER)는 즉각 성명을 내 "EU의 기후변화 정책이 현실감을 되찾았다"고 환영했다.

(브뤼셀연합뉴스) 김영묵 특파원 econ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