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한 재정적자와 해묵은 각종 사회문제,개혁이 절실한 정치시스템까지 지금 영국에는 처리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보수당과 자유민주당은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갈 것이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신임 총리의 11일 런던 총리관저 앞 연설) 데이비드 캐머런 보수당 당수(43)가 11일 런던 '다우닝가 10번지'의 새 주인이 됐다. 더 타임스 등 영국 언론들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캐머런 당수를 총리에 임명하고 내각 구성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13년간의 노동당 집권 시대가 막을 내리고 2차 대전 후 첫 연정인 보수당과 자유민주당의 연립정부가 들어섰다. 새 정부는 곧바로 조각에 들어갔고 재정적자 문제 등 숙제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벌써부터 정책 차이가 적지 않은 두 정당 간 '무지개 연정'이 영국을 경제위기에서 제대로 구해낼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보수당 집권 위해 첫 단추부터 양보

가디언 등에 따르면 43세의 캐머런 신임 총리는 200여년 만에 가장 젊은 총리로 영국을 이끌게 됐다. 그는 보수당 최연소 당수에 오른 지 5년 만에 집권까지 성공하면서 '보수당의 개혁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튼스쿨과 옥스퍼드대를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한 '귀족 엘리트'로 시장을 중시하면서도 분배와 약자를 고려하는 '온정적 보수주의'로 보수당의 외연을 넓히고 활력을 불어넣으면서 얻은 호평이다.

하지만 1634억파운드(약 335조원)라는 사상 최대의 재정적자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캐머런의 대외적 정치 환경은 그다지 좋지 않다. 무엇보다 어느 정당도 과반을 차지하지 못한 '헝 의회(Hung Parliament)'가 탄생하면서 정치 색깔이 상이한 자유민주당과 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실제 보수당은 닉 클레그 자민당 당수에게 새 정부의 부총리직을 맡기고 자민당 의원 4명을 연정 내각의 각료로 임명했다. 차관급 직책 상당수도 자민당에 돌아갔다. 연정 구성을 위해 첫 단추부터 보수당만의 '색깔'이 들어간 정책을 상당 부분 철회하거나 양보해야 했다. 당장 보수당은 상속세를 부과하는 기준금액을 100만파운드로 상향 조정하겠다는 공약을 철회했다. 이에 대해 가디언은 "캐머런이 연정 구성을 위해 보수당의 핵심 공약을 희생했다"고 비판했다. 소득세 면세 기준도 현행 연소득 6000파운드에서 1만파운드로 높이자는 자민당 공약을 수용했다. 재정적자 감축이 시급한 상황에서 상당 수준의 세원이 줄어드는 어려움을 집권을 위해 감내키로 한 것이다. 각종 선거 관련 제도 개편에서도 자민당의 의견을 대폭 수용했다. 빈곤층 학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학생 보험료 기금을 증액하는 등 교육정책에서도 자민당에 양보했다.

반면 영국 언론들은 보수당이 △핵억제력 유지 △원자력 지원책 실시 △이민자 수 제한 등 사소한 분야에서만 '승리'를 거뒀다고 꼬집었다. 더 타임스는 "어려운 과제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보도했다.

◆연정 내 불협화음 어떻게 조율할지 과제

보수당 정책의 핵심인 재정적자 개혁안에도 암초가 적지 않다. 일단 보수 · 자민 양당은 재무부와 영국중앙은행(BOE)의 조언을 받아 올해 비핵심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60억파운드(10조원)의 지출을 삭감한다는 데 합의했다. 연정 내각의 초대 재무장관에 내정된 조지 오스본은 "60억파운드의 공공부문 지출 삭감을 위한 긴급 예산안을 50일 안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자민당이 "공공부문 지출을 갑자기 삭감하면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며 내년부터 재정감축을 실시하자고 주장하고 있어 양당이 앞으로 원만히 정책 공조를 이룰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대유럽정책이나 이민정책 등에서도 양당 간 이견이 분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김동욱/이유정 기자 yjlee@ha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