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가상세계에 빠져 헤어나지 못하는 인터넷 중독자들이 급증하자 정부가 예방교육 강화 등을 골자로 한 '인터넷 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계획'을 내놨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터넷 중독률은 인터넷 사용인구의 8.8%에 달하고 중독자도 200만명에 육박한다.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판단한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7개 부처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12년까지 인터넷 중독률을 5% 이하로 낮추기로 했다.

사실 인터넷 중독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다. 최근에도 PC방에서 인터넷게임을 하던 부부가 3개월밖에 안된 영아를 방치해 죽음에 이르게 했고, 게임 중독으로 인한 사망이나 패륜 등의 사고 ·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긴급한 구제나 예방책이 절박한 상황이고 보면 정부의 종합대책이 때늦은 감도 없지 않다.

어쨌든 지금이라도 정부가 나섰으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대책이 돼야 한다. 우선 정부는 향후 3년간 1000만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을 실시하겠다고 했다. 중독률이 높은 중 · 고교 청소년뿐 아니라 유치원과 초등생, 그리고 직장인 등까지 그 대상이다. 유치원을 전후한 아동들이 인터넷을 시작하고 있고, 성인 중독률도 점점 심각해지는 추세이고 보면 대상을 넓힌 것은 잘한 일이다. 문제는 숫자를 늘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란 점이다.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을 스스로 깨닫게 할 체계적인 교육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중독자에 대한 상담과 치료 역시 보다 전문적이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정부는 또 인터넷 이용을 제한하는 소프트웨어, 인터넷 이용시간을 미리 조절할 수 있는 셧-다운 프로그램 등을 무료로 개발 · 보급하기로 했지만 의무가 아닌 이상 이런 노력들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인터넷 중독 문제는 정부에만 맡길 일이 아니다. 시민단체 등도 나서는, 지속적이고 전사회적인 캠페인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 전체가 인터넷 중독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자명(自明)하다. 진정한 인터넷 강국이 되려면 인터넷 안전에서도 1등이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