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시대회·영재 특별전형 폐지
"또 다른 사교육 유발 지적"도

올해 중3생이 시험을 치르는 2011학년도 과학고 입시부터 경시대회 입상자나 영재교육원 수료자 등을 상대로 한 특별전형이 폐지되고 교과 위주 지필고사 등도 금지된다.

대신 중학교 교장의 추천을 받아 수험생이 낸 학습계획서 등을 토대로 입학사정관이 면접을 통해 선발하는 자기주도학습 전형과 과학캠프 참가자의 능력을 평가해 뽑는 과학창의성 전형 등 `투 트랙'으로 나눠 신입생을 선발한다.

선행학습을 위한 사교육 유발 요인을 차단하고 과학고 설립 목적에 맞게 창의성과 잠재력을 갖춘 학생을 선발하려는 취지라는 게 교육과학기술부 설명이다.

그러나 과학캠프 과제 수행을 위한 사전 준비나 `스펙' 관리 등에서 사교육이 개입할 소지는 여전히 다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 자기주도학습 전형 = 올해 전국 19개 과학고의 총 모집인원은 1천520명으로, 475명(31.4%)은 자기주도학습 전형, 나머지 1천45명은 과학창의성 전형으로 뽑는다.

자기주도학습 전형 비율은 경북과학고가 정원의 50%(20명)이고 대전과학고 40%(36명), 전북과학고 33%(20명)이며 나머지는 모두 30%다.

입학사정관이 서류를 살피는데 1~2개월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전형 시기는 자기주도학습 전형이 7~10월, 과학창의성 전형이 10~12월이 될 예정이어서 수험생은 두 전형에 모두 응시할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 전형은 1단계로 중학교 교장이 추천할 수 있는 인원과 자격을 과학고별로 정하고 입학사정관이 학생 등이 제출한 서류를 검증하고 방문·면담 등을 통해 추가 자료를 검토한 뒤 2단계 면접 대상자를 확정한다.

면접 대상자 100명을 선정한다고 할 때 400명을 추천받아 서류로 추려내는 방식이나 100명을 추천받아 이들 전체를 면접하는 방안 등이 다양하게 시행될 수 있다.

입학사정관은 수험생 서류 진위 분석, 교사·학생 면담 등의 활동 결과와 학습계획서, 봉사·체험활동, 독서활동 등을 토대로 면접을 치른 뒤 그 점수와 중학교 내신성적을 합쳐 최종합격자를 정한다.

학습계획서는 지원 동기, 자기주도학습 경험, 향후 학습·진로 계획 등을 내용으로 학생이 직접 작성해야 하며 경시대회 입상 실적, 영재학급·영재교육원 이수 여부, 교과 인증시험 점수 등을 담아서는 안 된다.

추천서는 담임과 수학·과학 교사가 추천 여부를 판단하고 학교장이 최종적으로 확인하되, 중학교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또 추천 학생이 이에 부합하는지 등을 적는다.

내신 반영 과목과 과목별 비중, 성적 산출 방식 등은 시·도교육청이 결정하지만 수학, 과학 등 관련 과목만 최소로 반영하거나 이들 과목에 가중치를 주도록 교과부는 권장하고 있다.

◇ 과학창의성 전형 = 각 과학고는 과학캠프를 운영할 시설·설비 등을 고려해 중학교별 추천 인원과 자격을 정한다.

과학캠프 참여자를 정하는 방식도 추천자 전원으로 하거나, 수학·과학 등 내신을 반영해 추천자 일부를 선별하거나, 입학사정관이 학습계획서 등의 서류를 검토해 추려내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과학고는 1박2일 이상 캠프를 운영하면서 면담, 글쓰기와 발표·토론, 과제 부여 등을 통해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 과제 수행 능력, 학습 적응력, 과학적 호기심 등을 입체적이고 다면적으로 측정한다.

교과부가 제시한 창의성 평가 도구는 과학용어 사전 구성, 과학적 오류 찾기, 과학퀴즈, 발명 아이디어 찾기, 게임·퍼즐 만들기, 자연현상에 대한 가설 설정, 과학 수필이나 자서전 쓰기, 연구논문 요약하기 등이다.

캠프는 3~4시간에 개인이나 팀이 수행할 수 있는 과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학교별로, 또 같은 학교도 매년 다르게 과제를 구성하고 평가 문항을 중학교 수준을 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이를 공개하도록 했다.

캠프 결과와 내신성적을 합쳐 최종 합격자를 정한다.

◇ 사교육 사라질까 = 올림피아드 입상 실적 등을 토대로 한 전형을 없애고 이를 면접이나 학습계획서에도 반영하지 못하게 해 경시대회 준비를 위한 선행학습이나 자격증 취득을 위한 사교육, 필기고사 또는 구술면접을 위한 교과 과외 등은 상당히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그러나 체험·독서활동 등 `스펙'을 쌓거나 서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교육이 여전히 개입할 소지가 많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또 교과부가 제시한 과학캠프 평가 방법 등도 공교육을 통해서는 제대로 습득할 수 없는 수준이어서 사교육에 기댈 수밖에 없고, 중학교의 추천 과정에서도 영재교육원 이수 실적 등을 배제하도록 해 공정성과 투명성이 의심받을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