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19일 세종시 토론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수정안을 둘러싼 계파간 대립이 다시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세종시 문제가 공식 토론에 붙여지는 22일 의원총회를 앞두고 당내 친이(친 이명박)와 친박(친 박근혜) 진영은 각각 수정안과 원안을 지지하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있으며 중도 성향 의원들도 목소리를 내는 등 백가쟁명식 견해가 분출하고 있다.

당 초선의원들의 모임인 `선진과 통합', 친박 의원들의 모임인 `선진사회연구포럼'로 각각 토론회를 열어 세종시 정국의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등 세(勢)몰이도 본격화되고 있다.

친이 주류는 일단 당론을 위한 `열린 토론'을 강조하면서 토론에서 도출된 결과에 모두가 승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에서는 수정안에 기초한 당론변경 추진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19일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세종시 문제는 이제부터 본격적 토론"이라며 ""국가 중대사에 대한 신념과 소신을 터놓고 말하는 토론의 장이 돼야한다"고 말했다.

안 원내대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열린 자세로 다양한 의견을 경청.토론하고 대화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면서 당 원로와 중진들의 역할을 주문했다.

친이계의 한 핵심 의원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치열한 토론을 통해 당론을 만들자는 게 우리의 일관된 주장"이라며 "토론, 경쟁한 이후에는 어떤 안으로 당론이 만들어져도 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이계는 당론 변경의 변수가 될 50-60여명의 친박계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전날 `김무성 중재안'의 결과가 친박의 분열을 초래할지, 아니면 정반대로 더욱 공고한 결집으로 귀결될지 지켜보자는 분위기다.

다만 한 의원은 "김 의원의 중재안 발표가 오히려 대화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 것 같아 걱정"이라며 "중재안 설득은 물밑에서 했어야 했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친이 진영은 세종시 당론변경 투표에 대비해 내부 표단속에 들어가는 한편, 변경에 반대하는 친박과 중립지대 의원에 대해서도 `맨투맨' 설득을 병행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친박은 전날 세종시 중재안을 놓고 박 전 대표와 좌장격인 김무성 의원이 정면 충돌한 `충격'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흐트러짐 없이 단일대오를 과시했다.

친박 모임인 `선진사회연구포럼'은 이날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중진 의원을 포함한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별도의 모임을 갖고 세종시 대책을 논의했다.

모임에서는 국민과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세종시 원안을 고수한다는 입장이 재확인되면서 수정안과 당론변경 추진에 대한 성토가 쏟아졌다.

유정복 의원은 "정치권이 국민 전체에게 한 약속보다 중요한 약속은 없고, 이를 무력화한다면 정치나 선거는 존재할 필요가 없다"고 원안 추진을 강조했다.

허태열 의원은 세종시법 수정안이 친박의 반대로 국회 통과가 어려울게 뻔하다며 "이 문제는 헛된 문제를 갖고 헛심을 쓰는 도깨비와의 싸움"이라고 비판했다.

당론변경에 대해서도 "강제당론 도출은 강요할 문제가 아니고 실익도 없다", "표결로 당론이 변경돼도 국회 투표에서 좌절되면 웃음거리 밖에 안된다"는 반대 의견이 이어졌다.

그러나 정작 22일 세종시 의총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참여해서 각각 토론하되 표결에서 퇴장하면 된다"(이경재 의원) "당당히 나가서 원안의 철학을 말하자"(이종혁 의원)는 찬성론도 있었지만 "의총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능사"(손범규 의원), "일단은 거부하는 것이 맞다"(서상기 의원)는 반대론도 만만치 않았다.

친이-친박의 대립은 `선진과 통합' 토론회에서도 재현됐다.

친박 조원진 의원은 "이제 국민에게 `이만큼 토론했습니다'하고 보여주고 문제를 촉발한 몇몇 사람 퇴진해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고, 성윤환 의원도 "현 정부에서 세종시로의 행정부 이전이 못마땅하다면 여기서 멈추고 차기 정부로 넘기자"고 세종시 논란의 중단을 촉구했다.

그러나 친이 신지호 의원은 "세종시 문제에 정치적 접근이 아닌 정책적 접근을 했으면 좋겠다. 차분한 이성적 논의를 `선진과 통합'에서 해야 한다"고 밝혔고, 윤영 의원은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회동과 논의를 통한 해법을 제시하며 "그것도 안되면 국민투표에 붙이는게 어떻겠느냐"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화영 김범현 기자 quinte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