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선진국들이 각 은행에 금융위기와 관련된 책임 비용을 부과하는 이른바 '글로벌 은행세(global bank tax)' 도입에 거의 합의하고 있다고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가 10일 밝혔다.

브라운 총리는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지난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구제금융을 받은 은행들로부터 향후 10년간 900억달러를 징수하겠다고 밝힌 후 은행세에 대한 국제 여론이 우호적인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며 "은행세 도입이 성사된다면 세계 금융업계는 연간 수백억파운드의 비용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오는 6월 캐나다에서 열릴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은행세에 대한 원칙적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국제통화기금(IMF)도 4월 워싱턴에서 열릴 정례회의 이전에 은행세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힐 것으로 믿는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1월 G20 재무장관 회의에서 금융거래세(토빈세) 도입을 주장한 적도 있는 브라운 총리는 금융 규제 부문에서 대표적인 매파 지도자로 통한다.

은행세 도입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최근 각국에선 캐리 트레이드(저금리 통화를 빌려 고금리 통화자산에 투자하는 것)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아데어 터너 영국 금융감독청장은 지난달 스위스 다보스 회의에서 "캐리 트레이드는 경제적으로 가치가 없는 투기 활동"이라며 "캐리 트레이드가 크게 줄어들면 세상이 더 살기 좋아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구로다 하루히코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도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캐리 트레이드는 (아무런 보호막이 없는) 알몸 거래와 같다"면서 "위험 수위가 매우 높은 투기"라고 비판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