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제품의 글로벌 영토 확장에 속도가 붙고 있다. 한동안 부진하던 대(對)중국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서고 유럽과 중동은 새로운 성장 시장으로 떠올랐다. 화장품뿐만 아니라 미용 의료기기 수출도 급증하며 뷰티산업의 고성장 기대를 키우고 있다.◇다시 늘어난 화장품 중국 수출6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국내 화장품 잠정 수출액은 지난달 9억2526만달러(약 1조3548억원)로 집계됐다. 두 달 연속 전년 동월 대비 20% 넘게 증가했다. 작년 10월(9억9387만달러) 이후 월간 최대 수출액 기록이다.최대 수출 대상국인 중국 물량이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반전하며 고성장을 견인했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의 대중국 화장품 수출은 지난달 1억9752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37% 늘어났다.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현지 소비 심리가 되살아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해제 땐 주요 화장품 제조업체의 실적 개선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두 번째로 큰 시장인 대미 수출도 눈에 띄게 늘었다. 지난 3월 잠정 수출액은 1억5245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08% 불어났다.한국은 지난해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이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나라에 올랐다.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웰니스(wellness)’ 트렌드 확산으로 스킨케어(기초 화장품) 강자인 K뷰티 제품에 관심이 커진 영향이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e커머스 내 K뷰티 매출의 86%가 스킨케어다.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도 불구하고 대미 화장품 수출이 심각한 타격을 입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현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위
농심의 ‘신라면’과 ‘짜파게티’를 찾는 글로벌 라면 애호가가 늘고 있다.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에서 ‘chapagetti(짜파게티)’의 글로벌 검색량이 지난달 넷째주(23~29일)에 최근 1년 내 최대를 기록했다. 농심의 대표 제품 ‘shin ramyun(신라면)’ 유튜브 검색량도 같은 주에 1년 내 최대였다.짜파게티는 유명 셰프들의 조리 영상이 대거 확산한 덕을 많이 봤다. 글로벌 라면 브랜드인 신라면도 다양한 ‘먹방’ 콘텐츠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구글 및 유튜브 검색 트렌드는 특정 기업과 브랜드 매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선행지표다. 구글은 관련 검색량의 절댓값을 공개하지 않는 대신 기간별 추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0~100 범위 수치로 환산해 제공한다.농심은 유튜브 틱톡 등 주요 동영상 플랫폼에 꾸준히 영상을 게시하며 제품을 홍보하고 있다. 인기를 얻은 동영상 콘텐츠가 시청자의 제품 검색과 구매로 이어지는 ‘콘텐츠 기반 소비’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어서다.농심 미국법인의 틱톡 공식 계정(@nongshimusa)에선 ‘신라면 툼바’와 짜파게티 등을 활용한 짧은 콘텐츠가 인기 상위권이다. MZ세대 중심의 틱톡 팔로어 약 13만 명은 농심 계정에서 다양한 레시피 정보를 얻어가고 있다.농심 주요 제품의 검색량 증대는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에 이은 K라면의 동반 인기 상승을 반영한다. K라면 수출 급증의 주역인 불닭볶음면은 유튜브에서 매운맛 챌린지 콘텐츠로 여전히 큰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박이경 한경에이셀 데이터 애널리스트
‘35.26% vs -9.68%.’흔히 비교하는 미국과 국내 주식의 수익률 차이가 아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투자하는 스타트업 콴텍의 국내주식형 알고리즘과 코스피지수의 1년 수익률(2025년 4월 3일 기준) 비교다. 금융위원회 감독을 받는 코스콤의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에서 검증받은 수익률이다.기술 수준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AI가 인간의 결정 과정을 대신해주는 로보어드바이저 투자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AI의 수익률이 벤치마크 지수를 뛰어넘는 데다 인간 대신 감정이 없고 데이터를 무한히 학습할 수 있는 AI가 투자에 적합하다는 인식이 쌓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확산 변곡점 넘은 AI 위임 투자6일 코스콤에 따르면 핀트, 콴텍, 에임(AIM), 파운트 등 자문·일임 로보어드바이저 운용 금액은 3483억원으로 2023년 말 1186억원 대비 약 3배로 늘었다. 자문·일임은 로보어드바이저업체에 돈을 맡기고 수수료를 내는 유료 운용 서비스 형태다. 인간 프라이빗뱅커(PB)가 아니라 AI가 운용하는 자금이 급격히 늘고 있는 것이다. 이 서비스에 가입한 사람은 2022년 말 11만4868명에서 올 2월 말 16만4869명으로 2년여 만에 약 5만 명(43.5%) 증가했다.AI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는 인간이 투자 과정에 개입하지 않는다. AI가 투자자의 증권사 계좌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동의하고 자금을 넣으면 고도로 학습된 알고리즘이 투자자 성향 파악, 종목·시황 리서치, 투자 대상 선정, 최적의 매수 시점 결정, 주문까지 전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한다. 투자자의 별도 승인이 필요하지 않다. 보유 기간에도 AI가 계속 종목과 시황을 분석하며 매도 타이밍을 잡는다. 5~6년 전 어설프게 유망 종목을 추천하는 수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