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난 가중 등의 영향을 받아 결혼이 줄고 이혼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통계청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혼인 건수는 27만3천600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5.4% 감소했다.

또 이혼 건수는 11만5천800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9.5% 증가했다.

혼인 건수가 줄어든 것은 2006년 쌍춘년 결혼특수로 인해 결혼 건수가 크게 늘어났다가 연차적으로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비율상 감소세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혼 건수 증가 역시 2008년 이혼숙려제가 도입된 이후 이혼 건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던 기저효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다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외부 변수도 혼인과 이혼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외환위기 경험에서 보듯 통상 경제위기 때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면서 미혼자들이 결혼을 미루거나 기혼자들의 이혼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며 "작년에도 경제적 상황이 일정 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제위기의 여파는 국내 인구이동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이동자 수는 848만7천명으로 2008년(880만8천명) 대비 3.6%, 전입신고 건수는 510만건으로 전년(525만건)보다 2.9% 각각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통상 주택경기가 살아날 때 이동 건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며 "지난해 부동산 경기가 다소 침체기에 놓이고 취업난도 가중되면서 이동 건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11월 출생아 수는 41만4천1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4.0% 감소했다.

2007년 황금돼지해 출산 특수가 점차 줄어들고 2008년 혼인 건수 또한 전년보다 4.6% 감소한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사망자 수는 작년 1~11월 22만5천1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0.3% 증가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jbry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