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몰아치는 고용한파, 청년실업 해소가 다급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기 여파로 지난해 취업자 수가 외환위기 이래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취업자 수는 2350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7만2000명 감소했다. 이는 1998년 127만6000명 감소 이후 최대폭이라고 한다. 지난해 실업자는 월평균 88만9000명으로 전년비 15.5% 증가했고, 실업률도 3.6%로 0.4%포인트 높아졌다. 이 같은 결과는 어느 정도 예상된 것이기는 하나 고용시장은 올해도 쉽게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여간 걱정스러운 게 아니다.
당장 연초부터 고용시장에는 매서운 한파가 몰아닥치고 있다. 희망근로사업과 청년 인턴의 중단 및 종료로 상당 수 일자리가 사라진데다 2월부터는 고교 및 대학 졸업자들이 채용시장으로 쏟아져 나오게 된다. 반면 올해 국가공무원 채용은 20% 이상 줄었고 대규모 채용을 계획하는 기업도 많지 않다. 더욱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까지 겹치면서 고용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힘들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지적이다. 정부가 올해 최우선 정책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잡은 것도 바로 이런 배경에서일 것이다.
문제는 고용 시장 침체가 워낙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이를 일거에 해소할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데 있다. 정부의 고용 정책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고용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청년 실업 해소에 두어야 한다고 본다. 이는 청년 실업의 경우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 및 생산성 저하 등과 직결되는 까닭이다. 특히 지난해 15~29세의 청년 실업률은 8.1%로 1년 전보다 무려 0.9%포인트나 높아진데다 타 연령대보다도 유난히 높아 특단의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는 서비스산업 육성은 물론 다양한 취업훈련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늘리는 방안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아울러 채용을 늘리는 기업에 세제 등 각종 지원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이와함께 일부 공기업에서 도입하고 있는 임금피크제가 정년연장 효과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청년 채용을 줄이지는 않는지도 세밀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당장 연초부터 고용시장에는 매서운 한파가 몰아닥치고 있다. 희망근로사업과 청년 인턴의 중단 및 종료로 상당 수 일자리가 사라진데다 2월부터는 고교 및 대학 졸업자들이 채용시장으로 쏟아져 나오게 된다. 반면 올해 국가공무원 채용은 20% 이상 줄었고 대규모 채용을 계획하는 기업도 많지 않다. 더욱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까지 겹치면서 고용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힘들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지적이다. 정부가 올해 최우선 정책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잡은 것도 바로 이런 배경에서일 것이다.
문제는 고용 시장 침체가 워낙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이를 일거에 해소할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데 있다. 정부의 고용 정책에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고용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청년 실업 해소에 두어야 한다고 본다. 이는 청년 실업의 경우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 및 생산성 저하 등과 직결되는 까닭이다. 특히 지난해 15~29세의 청년 실업률은 8.1%로 1년 전보다 무려 0.9%포인트나 높아진데다 타 연령대보다도 유난히 높아 특단의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는 서비스산업 육성은 물론 다양한 취업훈련 등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늘리는 방안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아울러 채용을 늘리는 기업에 세제 등 각종 지원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이와함께 일부 공기업에서 도입하고 있는 임금피크제가 정년연장 효과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청년 채용을 줄이지는 않는지도 세밀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