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체제와 오랜 대립각.."수천명 조문차 장지로 떠나"

이란의 반체제 성직자인 그랜드 아야톨라 호세인 알리 몬타제리가 87세를 일기로 타계했다고 현지 언론이 20일 전했다.

이란 관영 뉴스통신 IRNA와 파르스는 이슬람 시아파 최고 성직자를 뜻하는 `그랜드 아야톨라'라는 호칭을 생략한 채 "호세인 알리 몬타제리가 어젯밤 자택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시아파 성지인 콤 지역에 머물러온 몬타제리는 지난 6월 대선 이후 이란을 휩쓴 반정부 시위 때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의 재선을 인정하지 않는 개혁파 야권 세력을 지지했던 성직자이다.

이란의 개혁파 웹사이트들은 이스파한 나자파바드, 쉬라즈 등 여러 지역에서 수천 명이 그의 장례식에 참석하려고 콤으로 떠났으며, 테헤란 대학 학생들은 그의 타계 소식을 접하자마자 애도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또한, 테헤란의 주요 광장에는 몬타제리를 추모하려는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고, 콤 지역에는 중무장한 전투경찰이 배치된 상태라고 이들 웹사이트는 주장했다.

1979년 이란의 이슬람 혁명을 이끈 주역 중 한 명인 몬타제리는 한때 초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거명됐었다.

하지만, 그는 1988년 이슬람 예언자 무하마드를 조롱하는 시를 발표한 영국인 살만 루시디를 살해하라는 호메이니의 지시를 공개적으로 거부하는 등 호메이니의 강경노선을 비판해오다가 지도부에서 축출됐다.

몬타제리는 또 권력이 최고 지도자 한 사람에게 집중되어 있는 이란의 신정체제를 지속적으로 비판해왔으며, 최고 지도자의 권력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그는 1989년 호메이니가 숨진 뒤 최고 지도자 자리에 오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자격 문제를 거론했다가 1997년에 반역 혐의로 가택연금에 처해졌다.

몬타제리는 5년 후 건강상의 이유로 가택연금에서 풀려나고 나서도 자유와 정의를 부단히 옹호해 미르 호세인 무사비 전 총리와 모하마드 하타미 전 대통령을 비롯한 개혁파 세력의 정신적 지도자로 자리매김됐다.

몬타제리는 오는 21일 콤에 있는 마수메흐 묘역에 안장될 예정이다.

이란 당국은 그의 장례식에 대한 외국 언론매체의 취재를 금지했다.

(카이로연합뉴스) 고웅석 특파원 freem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