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중인 쌍용자동차의 회생계획 수정안이 또다시 부결됐다고 한다. 지난 주말 열린 제3차 관계인 집회에서 담보채권자와 주주들은 압도적 비율로 찬성표를 던졌지만 씨티은행 등 해외 전환사채(CB)를 보유한 해외채권단이 집단으로 기권표를 던져 수정안 통과를 무산시켰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쌍용차의 회생 절차 돌입 여부는 오는 17일로 예정된 법원의 강제인가 선고 여부에 따라 좌우되게 됐다.

쌍용차 채권단 및 주주들이 회생계획에 대해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해외채권단은 수정안 상의 채권변제율이 지나치게 낮다는 이유를 들어 회생계획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한다. 쌍용차 측이 당초 계획보다 변제율을 높여 원금 8% 탕감, 45% 출자전환, 47% 현금분할상환(연3.25%) 등의 조건을 제시했지만 그럴 경우 손실이 너무 크다고 주장하며, 원금탕감 대신 출자전환비율을 높이고 출자전환 주식에 대한 3대1 감자(자본급 감축)계획도 취소해야 한다는 등의 새로운 요구조건을 내걸았다는 것이다.

물론 회생계획이 통과될 경우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한 해외채권단의 입장에서는 가능한 한 한푼이라도 더 챙겨야 하는 처지임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경영 형편에 처해 있는 쌍용차로서는 더이상의 요구는 받아들이기 힘든 상태에 있는 것 또한 부인하기 어렵다. 게다가 그런 요구를 받아들일 경우는 채권단끼리의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회생 계획 자체가 무산돼버릴 가능성마저 없지가 않다.

중요한 것은 쌍용차가 파산되는 사태만큼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는 점이다. 당장 이 회사에 몸담고 있는 임직원들의 일자리 지키기 측면에서도 그러하지만 수많은 협력업체들과 지역경제, 나아가 아직도 위기 국면에서 본격 탈출하지 못하고 있는 나라 경제 전체를 생각해봐도 그러하다. 더구나 쌍용차의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가치를 웃돌고 있고, 해외채권단을 제외한 담보채권자들과 주주들은 회생계획에 압도적 찬성표를 던진 점도 감안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 차원에서 우리는 오는 17일의 법원 선고에서는 회생절차 강제인가 결정이 내려지고 쌍용차가 재기의 길을 걸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