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금융시장을 강타했던 '두바이 쇼크'가 일단 소강 상태로 접어드는 모습이다. 지난 주말 폭락했던 코스피지수는 어제 2% 넘는 반등에 성공했고 급등했던 원 · 달러 환율도 12원70전 떨어지며 다시 안정세를 되찾았다. 폭락했던 유럽 증시가 하루만에 반등에 성공한데다 미국 증시도 당초 예상보다는 하락폭이 크지 않은 영향이 컸다. 아라에미리트(UAE) 중앙은행과 아부다비 정부가 두바이 지원의사를 밝힌 것도 시장 안정에 한몫했다. 어쨌든 거의 '패닉' 상태에 빠졌던 금융시장이 다시 정상화된 것은 참으로 다행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이번 사태는 여러모로 지난해 금융위기와는 성격이 다르고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도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 우리 금융권의 두바이 투자금이 전체 대외 투자액의 0.17%에 불과한데다 우리 건설업체 중 이번 사태와 관련해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곳도 극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최근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고치에 육박하고 있는 것이나 우리나라가 대외 순채권국으로 전환돼 대외신인도가 높아진 것도 이번 사태의 파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중 하나다.

그러나 아직 긴장을 늦추기에는 이른 것 또한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아부다비의 명확한 지원 대책이 나오지 않은 데다 두바이 사태로 유럽발 자금시장 경색이 나타나면 신흥시장의 외화유동성 악화와 자산가격 하락을 초래, 외국자본 이탈 현상이 다시 나타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 두바이 사태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신인도를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보름 만에 세자릿수로 올라갔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이번 사태의 충격이나 파장(波長)을 애써 축소해서는 안되며 있는 그대로 알리고 미리미리 철저하게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본다. 물론 정부가 어제 관계부처 합동으로 두바이사태 점검회의를 열고 이번 사태가 타개될 때까지 일일점검체계를 갖추겠다고 발표했지만 혹시라도 있을지 모를 돌발상황에 대한 대비에 결코 소홀해서는 안된다. '큰 충격은 없을 것이다'라는 정부의 말만 믿다가 국민들이 또다시 위기를 맞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