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쇼핑과 함께 여가를 즐기는 복합쇼핑몰의 등장은 자동차 보급률,국민소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복합몰은 초기에 넓은 면적이 필요해 입지 선정이 용이한 교외(郊外)에 주로 세워졌고,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여가를 제대로 즐기려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성장해왔기 때문이다.

몰(mall)의 효시는 1877년 이탈리아 밀라노의 엠마뉴엘 광장에 만들어진 대형 야외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몰이 현대적인 유통업 형태로 발전하고 생활 속에 자리 잡은 것은 1950년대 미국이다. 포드의 저가 자동차가 쏟아지면서 미국 가정의 자동차 보급률이 60%를 넘어섰고,교외로 이사한 중산층을 흡수하기 위해 지붕을 덮은 빌딩 형태의 몰들이 여기저기 생겨났다. 일본에서도 자동차 보급률이 60%를 넘어선 1970년대 들어 몰들이 본격 등장했다.

미국과 일본의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를 넘어선 1988년 이후 양국의 복합쇼핑몰은 전성기를 맞는다. 일본 롯폰기힐스 등 도심에 호텔과 백화점,멀티플렉스,대형서점 등이 결합한 '랜드마크'형 복합타운과 미국 그로브몰처럼 마을을 몰로 바꾼 야외형 쇼핑몰들이 급증했다. 이와 함께 '쇼핑하지 말고 몰링(malling)하라'는 말이 유행하고,몰링을 즐기는 '몰고어(mall-goer)',운동 삼아 널따란 몰을 여기저기 둘러보는 '몰워커(mall walker)' 등 몰과 관련된 신조어들도 등장했다.

한국도 비슷한 상황이다. 자동차 보급률이 60%에 이른 2000년 복합몰의 초기모델인 '코엑스몰'과 강남 '센트럴시티'가 등장했다.

또 소득 2만달러 재진입을 앞둔 올해 해운대 센텀시티,영등포 타임스퀘어 등이 잇따라 등장하며 '몰링'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백인수 롯데유통전략연구소 소장은 "외환위기 여파와 카드 사태 등으로 시기가 좀 늦춰졌지만 주5일 근무 정착 등 소비환경 변화와 대형 업체들의 복합몰 건립 경쟁으로 국내에도 본격 몰링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