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은 북한이 다자회담에 복귀하기 전에 양국 간 두 차례의 공식회담을 갖기로 합의했다고 미국의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FP)가 3일 보도했다.

FP는 최근 미국을 방문한 리 근 미국국장과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성 김 대북특사 간 협상(사진)에서 이 같은 합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미국 측은 이번 협상에서 △북한의 다자회담 복귀 전 두 차례 양자회담 개최 △스티븐 보즈워스 북한정책 특별대표의 방북시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 면담 허용 △2005년 9 · 19 선언 준수 및 조속한 핵프로그램 포기,핵무기 비확산조약(NPT) 체제 복귀 등 세 가지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미국의 조건에 "양자회담 결과가 잘됐을 때 다자회담에 복귀하겠다"는 종전의 입장과 달리 다자회담 복귀 전 두 차례 양자회담 개최에 동의했고,보즈워스 대표의 협상 상대를 강 제1부상으로 격상하는 데도 별다른 이견을 표시하지 않았다고 FP는 덧붙였다. 하지만 북한은 세 번째 제안에 대해 한반도의 비핵화 구상이라는 토대 위에서 회담을 재개하고 싶다며 반대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자신들뿐 아니라 남한의 핵무기 존재여부에 대해서도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는 종전 입장을 고수한 것이라고 FP는 분석했다.

한편 북한이 미국에 대해 보즈워스 대표의 방북과 함께 미 상 · 하원의원단의 북한 방문도 타진했다고 일본 산케이신문이 4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미국 측은 이에 대해 북한의 핵 관련 시설 공개를 방북 조건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이런 제의를 한 것은 북 · 미 간 고위급 대화를 위한 협상이 잘 이뤄지지 않더라도 의원단과의 접촉을 통해 북 · 미 간 직접 대화의 실마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미 · 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하원 의원단 초청은 북한 측이 양자 간 직접 대화를 미국 측에 요구하는 과정에서 거론됐다. 북한 측은 하원의원단의 방북에 이어 상원의원단의 방북도 요청했다.

산케이신문은 미 정부 내에 보즈워스 특별대표의 방북에 대해 신중론도 적지 않아 북 · 미 간 물밑접촉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워싱턴=김홍열/도쿄=차병석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