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추가지원안이 발표됐다. 지방재건팀(PRT) 민간요원을 늘리고 이들을 보호할 병력도 보낸다는 것이다. 한 · 미동맹의 강화,국제평화기여 등을 감안한 결정이라고 본다. 우리와 직접 교전 상대도 아닌 위험한 전쟁 지역에 국군을 보낸다는 것은 어려운 결정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경제 · 안보의 이해가 얽힌 국제사회에서 국익을 고려하면 힘든 선택을 해야할 때도 있다.

이제 국방부와 외교부 등 관련당국은 PRT 민간요원은 물론 파견 병력의 안전에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최근 현지에서 미군은 물론 프랑스 등 지원군들의 희생이 부쩍 늘었다. 파병시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엊그제 김태영 국방장관도 "파병시 교전이 불가피할 수 있고 희생도 각오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병이 된다면 전투병,비전투병 구별도 없다는 게 국방부 판단인 만큼 이들의 안전 문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칠 게 없다. 특히 파견 초기부터 반군의 공격대상이 된다면 지속적인 주둔지원은 힘들어질 것이고 어렵게 결정한 지원 취지도 살릴 수 없다는 점을 잘 인식하기 바란다. 안전문제는 외교부 등도 다각도로 접근해야 하며,경우에 따라서는 비용이 더 소요되더라도 최우선 고려점이다.

파병시 외교당국은 서남 · 중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재외국민들의 안전문제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최근 아프간과 파키스탄 지역 테러집단의 발호를 보면 양상은 갈수록 대범하다. 수법도 첨단지능형으로 변해가는 추세다. 파병 현지는 물론 국내에서까지 안전문제에 완벽하게 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