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행정구역 개편 추진으로 지자체간 통합 여론이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경산,구미-칠곡 통합 논의가 다시 수면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에서 가장 활발히 통합 논의가 진행 중인 곳은 경산시로 지난 94년 경산·대구 통합추진위원회가 발족된 이후 300여명의 위원이 지금도 활동 중이다. 2006년 통추위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경산지역 주민 76%가 통합을 찬성했다.

ADVERTISEMENT

이들은 대구와 경산을 오가며 출퇴근 및 통학 중인 1400여개 기업체 직원과 11개 대학 학생들의 교통편의, 상대적으로 열악한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이 시급한 과제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경산 지역 초등학생의 상당수가 대구 수성구 중학교로 진학하기 위해 위장전입을 하고 있는 점도 현안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통추위는 내년 지방선거에 대구시와의 통합을 공약으로 내건 시장 후보를 지지하는 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하고 있다.

ADVERTISEMENT

그러나 일부 경산 시민들은 대구시의 부채와 환경쓰레기를 경산시가 떠맡을 것을 우려해 통합을 반대하고 있으며 경산시에 각종 투자를 유치해 온 경북도의 반대는 가장 강력한 걸림돌로 남아있다.

구미시-칠곡군의 통합도 찬반 양론이 엇갈리는 가운데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특히 대구와 인접한 동명면, 구미와 인접한 북삼·석적읍 주민은 대부분이 대구 혹은 구미로의 편입을 원하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행정구역만 칠곡군에 속해 있을 뿐 대부분의 생활이 대구·구미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대구=신경원 기자 shi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