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시립인천대와 인천전문대가 ‘통합협의기본 원칙’을 체결, 두 대학간 통합논의를 시작했다고 28일 밝혔다.

 통합협의 기본원칙 합의에 따라 두 대학은 앞으로 1개월간 각 대학 구성원과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오는 7월초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두 대학은 통합협의 기본 원칙을 통해 세부적인 내용은 각 대학의 대표들로 구성하는 ‘인천대.인천전문대 통합협의위원회’에서 논의키로 했다

 또 통합과정에서 전체 교직원의 신분과 학생들의 교육상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최종적인 통합은 두 대학 구성원의 동의절차를 거쳐 결정키로 했다.

 이에 따라 양 대학은 오는 6월말 교직원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 찬반을 묻는투표를 실시, 반수 이상이 찬성할 경우 1994년 인천대 시립화 이후 15년만에 통합돼 내년 3월부터 ‘통합 인천대’로 신입생을 모집하게 된다.

ADVERTISEMENT

 두 대학이 통합되면 인천대의 정원은 현재 6780명에서 1만800명으로 늘어나게되며 도시계획과 조경, 교통분야 등의 학과를 신설할 수 있게 된다.

 수도권정비계획법으로 수도권 대학들은 입학 정원을 늘리거나 학과를 신설할 수없지만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 통합할 때는 예외를 인정받는다.

 안경수 인천대 총장은 “지역 대학은 지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배출해야 한다”며 “양 대학이 통합하면 인천에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박상언 인천전문대 학장대리도 “인천은 한국에서 제일 앞서가는 도시이지만 이에 상응하는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시대적 요청에 따라 두 대학의 통합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