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서 국악 공연 시연회


나이 20대, 신장 157㎝, 몸무게 50㎏의 인간을 닮은 로봇 '안드로이드'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공연 무대에 섰다.

국립극장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18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안드로이드와 국악인 등이 함께 출연한 공연 '에버가 기가 막혀' 시연회를 열었다.

지난해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이 개발한 로봇이 연극에 출연한 적은 있지만 인간 모습을 한 안드로이드가 공연 무대에 선 것은 이번이 세계 처음이라고 두 단체는 밝혔다.

시연회에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호길 박사팀이 개발한 로봇가수 '에버'와 김홍석 박사팀의 바퀴로 움직이는 로봇 '세로피'가 출연했다.

에버는 한복을 곱게 차려입고 긴 머리카락을 가졌으며 피부는 실리콘 복합재질로 만들어졌다.

62개의 관절을 가진 에버는 기쁨과 슬픔 등 12개의 얼굴 표정이 가능하다.

에버는 2006년 가수 로봇으로 공개된 '에버투 뮤즈'의 후속 모델이다.

이름은 이브(Eve)와 로봇(Robot)의 합성어로 끊임없이 발전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세로피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심부름용으로 개발한 로봇이다.

시연된 공연은 지구 예술가 '황병기'가 여행을 떠난 우주 공간에서 가야금을 연주하자 이 선율을 들은 에버가 지구에 와 명창으로부터 판소리 '사랑가'를 따라 배우는 과정을 그렸다.

판소리를 따라 부르던 에버의 실력이 시원찮자 명창이 "그것도 모르냐"고 핀잔을 주면 옆에 있던 세로피가 추임새를 넣듯 유머를 던졌다.

명창 역은 국립창극단 간판 배우인 왕기석이 맡았다.

에버가 판소리를 따라 부르는 부분은 국립창극단의 주역 박애리가 사전 녹음한 소리로 립 싱크로 이뤄졌고 움직임도 박애리의 동작을 본떴다.

한복 디자이너 이영희가 협찬한 의상을 입은 에버는 무대에서 걸을 수 없어 움직임에 제한이 있었으며 표정 변화도 확실하게 와 닿지는 않았다.

하지만 시연회에 초청된 관객들로부터 유쾌한 웃음을 이끌어내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특히 에버는 4월 열리는 세계 최대 산업전인 '독일 하노버 메세'에 한국의 대표 로봇으로 출품되며 이때 이번 공연 내용도 재현돼 한국의 로봇기술과 전통 소리, 의상을 알리게 된다.

시연회에 이어진 대담에서 연출을 맡은 김영순은 "에버가 걸을 수 없다는 점이 애로사항이었다"면서도 "앞으로 로봇이 영상산업뿐 아니라 공연예술에서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명창으로 출연한 왕기석은 "처음에는 어색하고 섬뜩했지만 연습을 하다보니 익숙해졌다"고 소감을 밝혔다.

황병기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은 "로봇이 무대에서는 아직 부족한 점이 있지만 그런 점이 더 장점이 될 수도 있다"며 어린이는 어른에 비해 선입견이 적으니 로봇을 활용한 공연을 통해 국악을 더욱 친근하게 여길 것 같다"고 내다봤다.

에버는 5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엄마와 함께 하는 국악보따리' 공연에서 새로운 내용으로 관객을 만날 예정이다.

국립극장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공연에 로봇을 활용한다는 내용의 계약을 이날 맺었다.

(서울연합뉴스) 김정선 기자 j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