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세차장은 부동산 중개물 아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간이로 기둥과 벽면을 만든 세차장은 독립된 건물이라 볼 수 없기 때문에 부동산 중개대상물이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제2부(주심 박일환 대법관)는 23일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거래 신고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장모(53)씨에 대한 상고심에서 벌금 5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무죄 취지로 사건을 서울동부지법으로 돌려보냈다.
장씨는 중개사무소 등록을 하지 않은 채 서울 송파구 모 커피숍에서 강동구 소재 셀프 세차장 매매 계약을 중개하고 수수료 500만원을 받는 등 3차례에 걸쳐 셀프 세차장 권리 및 시설 매매를 중개한 뒤 1500만원을 받은 혐의로 기소됐다.그러나 장씨는 셀프 세차장의 권리 및 시설은 중개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재판부는 “독립된 건물이 되려면 기둥과 지붕,주벽이 있어야 하지만 세차장은 파이프·철골 기둥과 천막,유리 벽면으로 이뤄져 있어 독립된 건물이 아니다”며 “세차장 구조물 및 세차장 관련 설비는 중개대상물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1·2심은 “장씨가 중개한 목적물에는 일반건축물대장에 등재된 철골조 시설이 포함돼 있고 이는 법률이 정한 중개대상물에 해당한다”며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대법원 제2부(주심 박일환 대법관)는 23일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거래 신고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장모(53)씨에 대한 상고심에서 벌금 5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무죄 취지로 사건을 서울동부지법으로 돌려보냈다.
ADVERTISEMENT
재판부는 “독립된 건물이 되려면 기둥과 지붕,주벽이 있어야 하지만 세차장은 파이프·철골 기둥과 천막,유리 벽면으로 이뤄져 있어 독립된 건물이 아니다”며 “세차장 구조물 및 세차장 관련 설비는 중개대상물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1·2심은 “장씨가 중개한 목적물에는 일반건축물대장에 등재된 철골조 시설이 포함돼 있고 이는 법률이 정한 중개대상물에 해당한다”며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