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주 책임 우선..경쟁력 못갖추면 파산배제 못해

자동차산업 주무부처인 지식경제부가 판매부진과 유동성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쌍용자동차에 대해 직접적 지원은 아직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쌍용차에 대해서는 대주주가 우선 일차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식경제부 김동수 주력산업정책관은 29일 KBS 1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쌍용차 문제에 대한 정부 입장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김 정책관은 정부의 직접 지원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만약에 지원을 한다면 주거래 은행인 산업은행이 회생가능성을 보고 필요할 때 지원할 것"이라며 "아직까지는 그런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쌍용차가 최악의 상황에 부딪히게 될 때는 평택 지역경제나 협력 부품업체들에 대해서는 자구노력과 함께 유동성 지원이나 상생협력기금을 통한 지원, 나아가 업종 전환이나 인수.합병(M&A) 등을 지원할 수 있다고 김 정책관은 밝혔다.

특히 그는 "우수한 기술을 갖춘 부품업체가 도산하지 않도록 정부가 신경을 쓰고 발생한 잉여인력에 대해서는 재훈련 등 고용유지를 위한 계획을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쌍용차의 대주주인 상하이자동차의 경영 책임 문제에 대해 김 정책관은 "주인이 있는 회사는 일차적으로 대주주가 최대한 책임을 지는 게 당연하며 필요한 유동성도 공급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상하이차의 철수 가능성에 대해서는 "개인적인 생각이나 중국도 한국에서 얻을 것이 있다"면서 "어떤 형태로든 끌고 갈 것"으로 내다봤다.

김 정책관은 또 쌍용차가 파산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극단적인 생각은 하지 않고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계속 세계시장이 위축된 상태에서 쌍용차가 경쟁력을 못갖춘다면 그런 쪽도 생각을 해야 되지 않겠나"고 견해를 밝혔다.

자동차 산업 전반의 구조조정 필요성에 대해서는 내년 세계 자동차시장 수요가 15% 가량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을 토대로 "경쟁력을 못갖춘다면 시장이 축소되는 만큼 자산을 매각하거나 최후 수단으로 노사간에 일자리 나누기 등의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해 산업 전반의 구조조정 필요성이 있음을 내비쳤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 기자 jski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