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硏, 선제적 대응은 필요

우리나라에서 외환위기가 다시 발생할 확률은 10년 전 환란 때의 3분의 1 수준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한국의 금융위기 가능성 진단'보고서에서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합금융안정지수(CFSI)를 통해 외환위기의 재발 가능성을 점검한 결과 올해 8월 기준 지수는 0.53으로 1997년 12월(1.74)의 30% 정도"라고 1일 밝혔다. 이 지수는 올해 8월을 단기 고점으로 9월 0.47,10월 0.35 등으로 떨어지고 있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CFSI는 통화량 물가 자산가격 금리 수출입 외채 환율 생산 등 금융시장 건전성과 연관된 25개 지표를 토대로 산출한 것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금융시스템이 안정적이라는 뜻이다.

연구소는 "현재의 금융안정지수는 2001년 9ㆍ11 테러 당시의 0.23, 2003년 카드사태 때의 0.21보다 높지만 10년 전에 비해 경제 펀더멘털이 크게 개선됐기 때문에 외환위기를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최근과 같은 불안이 장기화될 경우 상황이 갑작스럽게 악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며 "정부는 가능한 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또 이날 발표한 '자산가격 변동과 통화신용정책 대응'보고서에서 주가 등의 자산가치 급락을 감안할 때 기준금리를 0.5%포인트가량 인하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기준금리 결정에서 물가와 성장 이외에 자산 가격을 주요 변수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주가 변수를 반영한 기준금리는 4분기 기준 연 3.5~3.6%로 현재(연 4.0%)에서 추가로 인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