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2월1일부터 개성관광 전면 중단 등을 일방 통보함에 따라 유일하게 남아있는 개성공단의 운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시적이나마 개성공단 폐쇄와 남북관계 전면 차단 등의 극단적인 상황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남북한이 서로 상대방 탓을 하며 한치도 물러서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정부가 북한에 대응한다면 생각보다 빨리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24일 북한의 개성공단 관광 중단 발표에 대해 대화 촉구 및 조치 철회 등을 요구했지만 북한이 요구한 6.15 선언 이행 등에 대해선 종전의 입장을 되풀이했다. 즉 '만나서 대화하자'는 것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우리는 자꾸 우리 기준을 세우면서 북한에 대화를 요구하지만 북한에 먹혀들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에 향후 남북관계가 보다 악화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며 "개성공단 폐쇄나 무력 시위 가능성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북 경협의 상징인 개성공단마저 중단될 경우 진출한 88개 남한기업과 1500여명에 달하는 관련 종사자가 일차적인 피해를 입을 뿐 아니라 남한에 대한 대외적인 안보 불안감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우리 정부가 전향적인 정책을 내놓는 등 분위기가 호전되더라도 상황이 당장 반전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는"북한은 우리 생각과 달리 개성공단을 달러공급원으로 보기보다는 협상의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개성공단을 폐쇄할 수 있다는 것을 한 번쯤 보여줄 것"이라며 "북한이 개성공단을 이번 조치에서 놔둔 것 역시 우리 정부의 대응을 보면서 속도조절을 하겠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한편 정부는 북한의 조치에 대해 비상상황반을 구성하고 현지 상주인력의 철수대책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