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대외무역에서 손해보는 일이 없도록 공정무역을 위해 싸우겠다"고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밝힘에 따라 한국 등 미국의 주요 교역국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오바마는 한·미간 자동차 교역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해왔던 만큼 최대 자동차 수출시장인 미국 수출이 위축되지나 않을까 걱정이 앞서는 게 사실이다.

무엇보다 오바마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그중에서도 자동차 부문에 대해 강하게 비판해왔던 점을 감안하면 우리측에 자동차 분야 재협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대단히 크다. 실제 오바마는 지난 주말 가진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자동차산업이 흔들리면 수많은 중소 부품업체와 지역공동체가 곤경에 처할 것"이라며 중산층의 일자리를 위해 자동차산업을 지원할 뜻을 분명히 했다. 이는 지난 3분기 25억달러의 손실을 기록한 GM을 비롯 포드 크라이슬러 등 '빅3'가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데 대한 공식 반응이어서 더욱 우려(憂慮)가 크다.

물론 오바마의 당선으로 한·미 FTA의 미국내 비준동의가 늦어지기는 하겠지만 내용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견해도 적지 않다. 쇠고기협상처럼 전면 재협상보다는 추가협상을 통해 미국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는 선에서 마무리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오바마가 중산층 이하에 대한 세금 감면 등 경기부양책을 쓸 경우 우리 업계가 강점을 갖고 있는 중소형차에 대한 수요가 늘 것인 만큼 새 정권의 등장은 위기보다는 기회가 될 것이란 긍정론도 있다.

그러나 섣부른 낙관은 금물이다. 경제난 극복과 지지기반 확대가 최우선인 오바마로서는 집권 초기 대외정책에서 강경 노선을 들고 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 자동차 업계는 최악의 상황을 전제로 미국의 보호무역(保護貿易) 움직임에 철저히 준비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연구개발과 생산성 향상에 매진해 원가 및 품질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미국내 현지 생산 확대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오바마 정부의 친환경산업 육성 방침에 맞춰 하이브리드카 개발 등에도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정부 역시 한국차의 미국 수출이 부당한 장벽에 막히지 않도록 사전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