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고용사정이 전반적으로 악화된 가운데 청년층의 고용이 특히 더 나빠지고 있다. 청년층의 일자리 부족은 경제문제를 넘어 사회불안 요인이 될 수밖에 없고 보면 다각적(多角的)인 대책 마련은 하루가 급한 마당이다.

정부가 어제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추진 방향'을 논의한 것은 이런 차원에서 적절하다. 청년층의 일자리훈련 강화,중소.벤처기업 지원확대,일자리창출 태스크포스 운영 등이 주로 논의됐다. 특히 내년부터 5년간 청년층을 대상으로 해외에서 취업 5만명,인턴 3만명,봉사활동 2만명씩을 양성키로 한 것은 지난 7월 초 정부가 발표했던 '하반기 경제운용방향'에 있던 관련 방안이 좀더 구체화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지금처럼 경제가 어려울 때 청년고용 문제를 오로지 좁은 국내에서만 해결하려 해서는 답을 찾기가 어렵다. 일찍이 해외시장에 눈을 돌리면서 우리 경제가 이만큼 커졌듯이 역량을 갖춘 청년들을 해외로 다양하게 진출시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이를 위해 주요 선진국에서 취업이나 아르바이트를 할수 있도록 비자협정을 체결하고 취업쿼터도 확보하는 등으로 여건을 만들어나가는 것은 정부의 몫이다. 그럼으로써 일회성(一回性) 대책발표로 끝내는 게 아니라 지속적으로 시행방안을 보완,해외진출의 목표를 달성하는 게 중요하다.

때마침 엊그제 대한상의 주최의 제주포럼에서도 "2년 침체 후에 올 호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반드시 2년 후가 될지,더 늦어질지 모르지만 경기는 순환하게 마련이다. 경제가 좋아질 시점을 대비해 젊은 인력을 키우는 것,특히 국제적 안목을 갖춘 청년층의 육성은 지금처럼 어려울 때 미리 해둬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