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측이 조지 부시 대통령의 방한 일정을 우리와의 사전 조율없이 일방적으로 언론에 공개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측은 이와 관련, 외교경로를 통해 우리 측에 사과의 뜻을 전했다.

외교 소식통은 2일 "미국 측이 오늘 새벽 주미 한국대사관을 통해 부시 대통령의 방한 일정을 우리에게 알려오면서 사전에 언론 브리핑을 통해 방한 일정이 공개된 점에 대해 미안하다는 의사를 전해왔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미측에서 유감을 표명해와 받아들이기로 했다"면서 "`조금 매끄럽지 않지 않느냐'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텐데 저도 절대 잘됐다고 생각은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리는 `미측의 유감표명을 이해한다'는 입장을 전한 상황이며, `이런 일이 다시 있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미측에 전달하고 조치를 취할 것은 취했다"고 전했다.

그는 "부시 대통령 방한 일정은 서로 합의가 돼 있었으나 서로 `모양새를 갖춰 발표하자'며 발표시기를 조율중이었다"면서 "그런데 미측에서 부시 대통령의 일본 G8(선진 8개국) 정상회의 참석 일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방한 날짜를 불쑥 말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데니스 와일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은 1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부시 대통령이 오는 7~9일 열리는 선진 8개국(G8) 정상회담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라면서 "이번 만남은 8월 5∼6일로 예정된 부시 대통령의 답방을 위한 기초를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해 부시 대통령의 답방 일정을 공개했다.

일반적으로 정상회담 일정은 양국이 동시에 발표하며 시차 등으로 동시발표가 어려울 때에는 초청하는 측이 먼저 발표한다.

이번의 경우에는 한국이 초청측이다.

다른 외교 소식통은 "와일더 보좌관이 G8 정상회담과 관련한 설명을 하다 실수로 부시 대통령의 답방 일정을 발표한 것같다"면서 "이유야 어찌됐든 외교적으로 매끄럽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백악관은 지난달 24일 부시 대통령이 7월 초에 답방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한국 측보다 먼저 일방적으로 공개해 논란을 낳았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미국의 잇단 외교결례가 `쇠고기 파동'을 겪으면서 생긴 한국 정부에 대한 불만 표출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는 "개인적인 착오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 문제삼지 않는 것"이라며 "외교결례라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이정진 기자 sims@yna.co.kr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