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이 1일부터 국유재산 65만필지 중 표본 1500필지에 대한 현장점검에 들어갔다.

수동적인 정부 조달 기능만 수행하던 조달청이 국유재산 관리라는 새 임무를 부여받고 첫 점검에 나서는 '역사적인 순간'이다.

조달청은 이명박 정부 최대 수혜 기관으로 떠올랐다.

정부는 지난달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조달청에 국유재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했다.

여기에 맞게 명칭도 '재정관리청(가칭)'으로 바꿀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나 각 부처가 진행하는 재정사업에 대한 감사 기능까지 부여해 감사원 못지않은 힘도 줬다.

조달청은 지난번 정부조직개편 과정에서 한 명도 인원을 줄이지 않는 행운도 누렸다.

대전정부청사의 다른 외청들은 통계청이 110명,특허청 12명,병무청 9명,관세청 6명을 각각 줄였지만 조달청만은 예외였다.

감사원은 지난해 감사보고서에서 총 447명(정원 기준)에 달하는 지방조달청(서울 부산 대구 등 11개) 조직과 56명이 소속된 품질관리단 운영을 '불합리한 예산 집행' 사례로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번에 새로운 업무를 맡게 됐으니 조직과 인원을 늘리면 늘렸지 줄일 이유가 없다는 '확실한 명분'을 얻었다.

대전청사 안팎에서는 장수만 조달청장이 대전청사보다 서울에 더 자주 머물며 기획재정부 등을 설득한 성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조달청 정보목록에 따르면 장 청장은 3월 한 달간 12~14일,19~21일,26~28일 등 각각 사흘씩 3차례에 걸쳐 서울 출장비를 지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3월10일 취임한 이후 매주 월~화요일 이틀만 대전에서 근무하고 나머지는 서울에 올라와 공을 들였음을 보여준다.

4월 이후 정보목록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장 청장이 최근 강만수 재정부 장관 상가에도 이틀 연속 얼굴을 내밀며 폭넓은 교류를 가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이후 행보는 따져볼 필요도 없을 것 같다.

그러는 사이 조달청은 '2인자(김모 차장)'가 수뢰 혐의로 구속되는 아픔을 겪었다.

장 청장은 그동안 염원하던 조달청 기능 강화를 이뤄낸 만큼 이제는 대전청사에 머물며 내부단속에 제대로 신경 쓰길 기대해 본다.

차기현 경제부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