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시험 등 허술한 행정 반복, 비난 자초

지난 25일 치러진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표집평가시험의 문제지 사전 유출 의혹은 인천시교육청의 관리 행정이 얼마나 허술하게 이뤄지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교육청은 학생들이 공정하게 시험을 볼 수 있도록 시험문제 작성에서 시험지 제작. 배포, 시험 실시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철저한 보안속에 관리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결국 이를 소홀히 해 시험 문제가 사전에 학원으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교육청은 26일 "S초교 학생들이 '우리들이 다니는 K모 학원에서 24일 본 시험문제와 25일 학교에서 치른 시험 문제가 거의 같다'고 말함에 따라 사실 확인에 나섰다"면서 "우선 학원측에 시험지를 넘겨줄 것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관할 중부경찰서에 시험지 유출 여부 확인을 위해 수사를 의뢰했다"고 덧붙였다.

시험지 사전 유출 여부는 경찰 수사로 가려지겠지만 학원과 학교의 시험 문제가 유사한 것으로 미뤄 사전 유출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물론 문제의 학원 원장은 "그럴 리 없다"고 시험지 사전 확보를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교육청은 교육과정 목표 성취도 파악 등을 위해 시험문제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지난 20일 지역교육청에 내려보낸 뒤 23일 23개 표집학교(전체 학급 중 100학급)에는 CD와 응시생 숫자만큼의 시험지를, 나머지 201개 학교엔 CD만을 배포, 25일 시험을 치르도록 했다.

CD는 부평지역 모 소프트웨어 제작업체에 의뢰, 총 250개가 만들어져 이중 224개는 각 초교에 배포됐고 나머지 26개 중 11개는 시교육청 본청에, 15개는 5개 지역교육청에 3개씩이 보관용으로 비치됐다.

이에 따라 시험지가 시교육청 또는 지역교육청, CD 제작을 의뢰받은 업체, 일선 학교 등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시교육청의 이 같은 엉성한 시험문제 관리는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데 더욱 큰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시교육청은 2007년 1월에도 초등학교 교사임용 면접시험 과정에서 답안지 성격인 '채점기준표'를 일부 응시자들에게 노출시켰다가 불합격생들이 불공정을 이유로 행정소송 등을 제기하자 불합격자 66명 전원을 합격시켰다.

이후 같은 해 10월엔 2008학년도 초교 교사 70명을 시험을 통해 뽑겠다고 발표했다가 3일만에 200명으로 늘려 선발한다고 공고, '넋나간 행정의 전형'이란 비난을 자초하기도 했다.

시교육청의 허술한 행정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올 1월에도 이어졌는데 중등교사 1차 합격자 373명을 발표했다가 일부 응시자의 성적 전산입력 오류로 전면 취소 후 다시 정정 발표하기도 했다.

지역의 한 교육단체 관계자는 "철저하게 관리돼야 할 시험 업무에 계속 오류가 발생, 시교육청 당국의 관리 능력에 의문이 일고 있다"면서 "책임자를 철저히 가려 징계해야 하고 수장인 교육감도 이에 대한 깊은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유출 여부를 가리기 위해 경찰에 조속한 수사를 요청했다"면서 "결과가 나오는 대로 종합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세워 추진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연합뉴스) 김창선 기자 changs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