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한국경제TV가 주최한 헤지펀드코리아 컨퍼런스 기조연설을 통해 헤지펀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헤지펀드 관련 규제를 단계적으로 완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내년부터 도입되는 헤지펀드 시장을 미리 점검해 보는 자리. 기조연설자로 나선 이창용 금융위 부위원장이 레버리지를 허용하지 않을 경우 금융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설명하며 헤지펀드 관련 규제를 순차적으로 완화하겠다고 역설합니다.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정부의 입장은 너무 명확합니다. 그동안 너무 안전을 추구하고 레버리지를 너무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금융 발전이 더뎠던 것 같습니다. 헤지펀드를 허용한다고 PEF를 허용하기는 했지만 상품선택이 제한됐었고 레버리지도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금융시장이 불안한 면이 있어 모든 규제를 풀 수 없지만 3단계를 통해 풀어나가려고 합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등으로 일각에서 헤지펀드 도입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만 투자의 대안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헤지펀드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접근이 필요한 시기라는 것입니다.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외환위기 직후에 우리가 헤지펀드 없고 구조조정관련 파이낸셜 인스트루먼트가 없어 수 많은 국부가 유출됐는지를 감안할 때 조금 더 전향적 생각을 갖고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헤지펀드 문제를 바라볼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구조조정 주식 등이 많이 팔리고 있기 때문에 M&A딜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최근 발생하는 모든 금융사고의 근원이 레버리지와 관련돼 있다"며 기업들이 과도한 금융권 대출을 통해 M&A에 나서는 것에 대한 지적도 빼놓지 않았습니다.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M&A딜과 관련한 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헤지펀드가 들어오면 안 좋고 전략적 투자자가 들어오면 좋고 하는 국민적인 공감대가 그런 쪽으로 가고 있다. 고민되는 것은 은행 대출이 많이 늘어나는 데 대출의 대부분이 대기업들이 새로운 M&A 물량에 대한 비딩을 하기 위해서 은행으로부터 레버리지 많이 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위험수준을 초과해 레버리지를 양산하고 M&A에 나서면 금융시장은 장기적인 시스템 위기가 초래된다는 점 등을 고려해 리스크에 대한 안전 시스템 구축, 감독당국의 대응능력을 향상시킨 뒤 헤지펀드를 도입하겠다는 설명입니다.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완화, 헤지펀드의 사모투자전문회사와의 통합 일원화 등 단계적인 구상을 밝힌 이 부위원장은 헤지펀드에 대한 바람을 덧붙이며 연설을 마무리했습니다. 이창용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이러한 제반 문제들은 정부나 규제당국에서 고민을 해야되는 문제이고 업계에서는 헤지펀드 시장이 열리고 나면 조금 더 열심히 해주셔서 우리나라에서도 전 세계에서도 내로라 하는 헤지펀드사가 나올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부탁드립니다" WOWTV-NEWS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