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국회가 오늘로 4년 임기를 끝내고 30일부터 18대 국회 임기가 시작된다.

과연 지난 4년간 국회가 본연의 임무에 충실한 입법활동을 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18대에는 지난날의 과오를 다시는 되풀이하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17대 국회는 과잉된 이념논쟁을 벗어나지 못한 채 여야가 대립과 극한투쟁으로 일관한 비생산적 국회였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특히 마지막 임시국회에서도 입씨름만 반복했을 뿐 나라의 장래까지 걸려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비준동의안은 내팽개쳤다.

유종의 미조차 거두지 못한 것이어서 유감스럽기 짝이 없다.

지난 4년의 국회는 출발부터 파격적이었다.

대통령이 탄핵으로 직무정지된 이례적인 상황에서 전체의원의 3분의 2에 가까운 187명의 초선의원이 탄생했다.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에는 이른바 '탄핵돌이'라는 젊은 얼굴들이 다수 부각했고,새로 도입됐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에 힘입어 진보진당인 민주노동당까지 원내로 진출하면서 변화의 기대도 받았다.

그것은 정치행태가 변할 것이라는 희망이었고,참신한 국회와 합리적인 정치판에 대한 유권자들의 열망이 반영될 것이란 바람이기도 했다.

그러나 결과는 그렇지 못했다는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다.

개원초부터 국가보안법과 과거사법 등을 놓고 몸싸움으로 시작했고,이런저런 비리나 추문도 끊이지 않았다.

국회 운영에서도 공전과 파행을 반복하다가 결국 한.미FTA 문제에서는 '직무유기'까지 했다.

국민을 두려워한다면,자신들을 뽑아준 유권자들의 궁극적인 이익이 무엇인가를 생각했다면 과연 이런 행태가 나왔겠는가.

이제 18대 국회는 크게 달라져야 한다.

여당이라고 정부를 무조건 감싸도 안되겠지만 야당이라 해서 무조건 반대부터 하는 구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해묵은 이념논쟁은 지양하고 서민 중산층들에게 실제 도움이 되는 입법활동에 전념해야 한다.

우리가 당면한 가장 큰 현안은 역시 경제살리기다.

우선 저성장의 늪을 벗어나야 일자리 창출의 난제(難題)도 풀린다.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소득격차 문제도 결국은 고용증대를 통해 이뤄내지 않으면 안될 과제다.

18대 국회가 입법활동을 통해 최우선적으로 뒷받침해주어야 할 숙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