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육 경쟁력이 세계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15일 발표한 '2008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교육 경쟁력은 평가 대상 55개국 중 35위를 차지했다.

지난해(29위)보다 6계단이나 하락한 것이다.

한국의 교육 경쟁력은 2004년 38위,2005년 34위,2006년 37위로 30위권 밖을 맴돌다 지난해 다소 개선됐지만 올해 다시 3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특히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인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 부합도'는 55개국 중 53위로 바닥권을 기록했다.

이는 '고등교육 이수율'이 최상위권(4위)에 올라 있는 것과는 대비되는 것으로 학벌 중시 풍토로 대학 졸업자는 많지만 대학 교육의 질은 형편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 경쟁력도 계속 떨어지고 있다.

한국의 기술경쟁력은 2005년 세계 2위를 기록했지만 2006년과 2007년 연속 6위에 머물렀고 올해는 8계단 하락한 14위로 주저앉았다.

이처럼 교육 경쟁력과 기술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과학.기술.교육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 '발전 인프라 구축분야'에서 한국의 경쟁력은 지난해(19위)보다 2계단 하락한 21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는 "과학 경쟁력은 지난해(7위)보다 높은 5위를 차지했지만 교육 경쟁력과 기술 경쟁력이 떨어지면서 전체 경쟁력이 하락했다"고 말했다.

한편 노사관계 생산성은 올해 55위를 기록,최근 6년간 최하위권을 면치 못하고 있다.

노동 규제가 기업활동을 저해하는 정도를 묻는 항목에서도 순위가 지난해 45위에서 54위로 크게 후퇴했다.

한국의 전체적인 국가경쟁력도 지난해 29위에서 올해 31위로 2계단 하락했다.

이번 IMD의 경쟁력 평가는 지난해 통계 데이터와 올해 1~2월의 기업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